금강경 9 .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하나의 모양도 모양이 없다
9 .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하나의 모양도 모양이 없다
須菩提 於意云何 須陀洹 能作是念 我得須陀洹果不 須菩提言 不也
수보리 어의운하 수다원 능작시념 아득수다원과부 수보리언 불야
世尊 何以故 須陀洹 名爲入流 而無所入 不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세존 하이고 수다원 명위입류 이무소입 불입색성향미촉법 시명수다원
須菩提 於意云何 斯陀含 能作是念 我得斯陀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수보리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아득사다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世尊 何以故 斯陀含 名一往來 而實無往來 是名斯陀含
세존 하이고 사다함 명일왕래 이실무왕래 시명사다함
須菩提 於意云何 阿那含 能作是念 我得阿那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수보리 어의운하 아나함 능작시념 아득아나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何以故 阿那含 名爲不來 而實無不來 是故 名阿那含
하이고 아나함 명위불래 이실무불래 시고 명아나함
須菩提 於意云何 阿羅漢 能作是念 我得阿羅漢道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수보리 어이운하 아라한 능작시념 아득아라한도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實無有法 名阿羅漢 世尊 若阿羅漢 作是念 我得阿羅漢道 卽爲着我人衆生壽者
실무유법 명아라한 세존 약아라한 작시념 아득아라한도 즉위착아인중생수자
世尊 佛說我得無諍三昧人中 最爲第一 是第一離欲阿羅漢 世尊 我不作是念 我是離欲阿羅漢
세존 불설아득무쟁삼매인중 최위제일 이제일이욕아라한 세존 아부작시념 아시이욕아라한
世尊 我若作是念 我得阿羅漢道 世尊 卽不說須菩提 是樂阿蘭那行者
세존 아약작시념 아득아라한도 세존 즉불설수보리 시요아란나행자
以須菩提 實無所行 而名須菩提 是樂阿蘭那行
이수보리 실무소행 이명수보리 시요아란나행
" 수보리야, 네 생각이 어떠하냐 ?
수다원이 생각하기를 '나는 수다원을 얻었노라 ' 고 하겠느냐 ? "
수보리가 사뢰었다.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수다원은 ' 성인의 부류에 들다 ' 라고 이름하지만
실은 어디에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형색이나 소리나 냄새와 맛 감촉이나 법에도 들어 가는 것이 아닙니다.
그 이름이 수다원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 수보리야, 네 생각이 어떠하냐 ?
사다함이 생각하기를 ' 나는 사다함의 과보를 얻었노라 ' 고 하겠느냐 ? "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사다함은 이름이 ' 한 번 갔다 온다 '는 말이지만 실은
가고 옴이 없습니다. 그 이름이 사다함일 뿐입니다. "
" 수보리야, 네 생각이 어떠하냐 ?
아나함이 생각하기를 ' 나는 아나함의 과보를 얻었노라 ' 고 하겠느냐 ? "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아나함은 이름이 ' 오지않는 이 ' 이지만 실은
오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름이 아나함일 뿐입니다. "
" 수보리야, 네 생각이 어떠하냐 ?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 ' 고 하겠느냐 ? "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실로 어떤 결정된 것이 있어서 아라한이라 이름한 것은
아닙니다. 만일 아라한이 ' 나는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 ' 고 생각한다면 이는 곧 나와 남과
중생과 수명에 집착하는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 다툼이 없는 삼매를 얻은 사람 가운데서 제일이다 ' 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욕심을 떠난 제일 가는 아라한이란 뜻입니다. 하지만 저는 ' 나는 욕심을 떠난 아라한이다 ' 라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일 나는 아라한의 도를 얻었다고 생각한다면, 세존께서는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즐겨 행하는 이라 말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수보리가 실제로 행한 바가 없었으므로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즐겨 행하는 이라 하신 것입니다. "
월호 스님의 한글 넉자배기 금강경
금강경 제9분과 : 얻은바 경지에 집착하지 마라
수보리야 너의 뜻이 어떠하냐 ?
수다원이 진정으로 수다원이 되었다면
" 나야말로 수다원의 경지를 - 얻었다고 "
생각하고 있겠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여!
왜냐하면 수다원은 " 흐름에 - 들어간 이 "
라고 하되, 들어간 - 바가없어 물질과 -
소리 향기. 맛과 감촉. 알음알이 어디에도
들어가지 않습니다.
수보리야, 너의 뜻에 어떠하냐 ?
사다함이 진정으로 사다함이 되었다면
" 나야말로 사다함의 경지를 - 얻었다 "고
생각하고 있겠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여!
왜냐하면 사다함은 " 오직 한 번 왕래할 이 "
라고 하되, 실제로는 오고 감이 없습니다.
수보리야, 너의 뜻에 어떠하냐 ?
아나함이 진정으로 아나함이 되었다면
" 나야말로 아나함이 경지를 - 얻었다고 "
생각하고 있겠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여!
왜냐하면 아나함은 " 가고나서 이 세상에
오지않을 이" 라 하되, 실제로는 오지않음
없습니다.
수보리야, 너의 뜻에 어떠하냐 ?
아라한이 진정으로 아라한이 되었다면
" 나야말로 아라한의 경지를 - 얻었다"고
생각하고 있겠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여!
왜냐하면 아라한은 더이상 - 얻어야 할
어떤 법도 없습니다. 세존이여, 아라한이
"나야말로 아라한의 경지를 - 얻었다고
생각하면, 아.인.중생. 수자상에 집착함이
되옵니다.
세존께서 이르시길, " 수보리가 다툼없는
삼매를 - 얻었으니 사람중에 제일이라 "
했습니다.
그렇지만 세존이여, 저 스스론 욕심 여윈
아라한 - 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만약에 - 저 스스로 아라한의 경지를 -
얻었다고 하였다면, 세존께서 " 수보리는
고요한 행 즐기는 자 " 라는 말씀 안 하셨을
것입니다. 제가 실제 행한 바가 없었기에,
" 수보리는 고요한 행 즐기는 자 " 라고 하신
것입니다.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 자신과 만나는 시간
월호스님 금강경강의 : BBS 불교방송에서
해 설
금강경 一相無相分 (第 九) 제 9 : 일상무상분 (법은 존재가 아님 )
① 수다원(須陀洹) :
수로타파나(Srotapana)의 음역. 수다원이란 열여섯 가지 마음을 가지고 88종의 견도혹(見道惑)이라는 번뇌를 끊고 처음으로 성인의 지위로 들어갔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한문으로 입류(入流)라고도 한다.
16가지의 마음이라는 것은,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에서의 고(苦) · 집(集) · 멸(滅) · 도(道) 등 사제를 닦아나가기 위한 마음의 자세인데, 욕계에서 한 사제를 닦고, 색계와 무색계를 합하여 한 사제를 닦아 여덟이 되고, 사제의 각각의 제(諦)에 는 인(忍)과 지(智)가 부가되어 있으므로, 모두 16가지가 되는 것이다.
인(忍)이란 확인하고 추진한다는 뜻이며, 지(智)란 완전히 성취한다는 뜻이다.☞인(忍)
욕계에서는 모든 제에다 법(法)자를 붙이고, 색계 · 무색계는 총괄하여서 상계(上界)라 하고, 이 상계에서는 류(類)자를 붙이는데, 여기서 류(類)는 "유례한다" 또는 "준한다"는 뜻으로서 요컨대 상계는 욕계에서 유례하여 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16心을 끊어야 할 88종의 견도혹(見道惑)이란,
도(道) 즉 진리를 보지 못하게 막는 번뇌를 말한다. 이것의 주요 성분은 [ 탐(貪;탐욕) · 진(瞋;성냄) · 치(痴;어리석음) · 만(慢;교만) · 의(疑;망서림) 등 다섯가지 ]의 무서운 번뇌(오둔사)와
[ 신견(身見;'나'가 있다는 생각) · 변견(邊見;한쪽에 치우친 생각) · 사견(邪見;인과를 무시하는 생각) · 견견(見見;위의 세가지 생각들을 옳은 것이라고 믿는 잘못된 생각) · 계금취견(戒禁取見;잘못된 수행방법을 옳은 방법으로 아는 생각) 등 다섯가지 ]의 가벼운 번뇌(오리사)이다.
오둔사(五鈍使 : 누구에게나 본능적으로 있는 번뇌)라 하고
오리사(五利使 : 수행하는 과정에서만 나타나는 번뇌)라고 한다.
이렇게 16가지 마음(心)에 따르는 88가지 번뇌가 삼계에 두루 퍼져 있어서 사성제를 닦지 못하게 막고 있는 것인데, 먼저 욕계의 경우를 살펴보면,
고제(苦諦)를 닦을 때 10가지 번뇌가 구족하고,
집제와 멸제를 닦을 때에는 신견, 변견, 계금취견 등을 제외한 7가지 번뇌가 각각 구족하고,
도제를 닦을 때에는 신견, 변견을 제외한 8가지 번뇌가 구족하므로,
결국 이 모두를 합쳐 32가지의 번뇌가 욕계의 견도혹을 이루게 된다. 집제를 닦을 때 신견 · 계금취견을 제외하는 이유는 다듬과 같다.
즉 집제는 괴로움의 원인을 규명하는 방법으로서 이미 고제를 닦았을 때 '이 몸은 괴로움투성이다'라고 하는 것을 확실히 알았으므로, '이 몸이 있다'고 생각하는 신견과, '이 몸이 죽은 후에 과연 영혼은 있는가 없는가'라고 하는, 어느 한 쪽에 치우친 변견과, '갖은 방법으로 잘못된 수행을 해서 괴로움을 면하려고'하는 계금취견은 더 닦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도제의 경우 다시 '계금취견'을 넣는 것은, 도제란 도를 실천하는 과정으로서 이 때 가끔 잘못된 수행방법을 옳은 방법이라고 잘못 여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색계와 무색계의 경우를 살펴보면, 욕계의 구성성분 중 진(瞋)은 기본적으로 제외하는데, 그것은 이 세계에서는 모두가 즐거워서 성낼 일이 없어 성냄이란 번뇌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제의 경우에는 9가지의 번뇌가, 집제와 멸제의 경우에는 각각 6가지의 번뇌가, 도제의 경우에는 7가지의 번뇌가 구족하여 총합 28가지의 번뇌가 있게 된다. 이것은 색계와 무색계 양자에 동일하므로 결국 상계의 번뇌, 즉 견도혹은 56가지가 된다.
그러므로 총괄적으로 보면 위에서 말한 욕계의 견도혹 32가지와 상계의 견도혹 56가지를 합한 88가지 번뇌(견도혹)가 16心에서 나오는 것인데, 수다원은 바로 이 88가지 번뇌를 끊었다는 것이다.
② 사다함(斯多含) :
사크리다가민(Sak d gamin)의 음역. 사크리다가민은 한문으로 일왕래(一往來)로 번역되는 것으로서 '한번 다녀간다'는 뜻이다. 사다함은 성문(聲聞)의 네 지위 중 둘째 과위인데, 이 지위에 오르면 이 인간세상에 한번만 더 왔다 감으로써 열반에 이르러 생사(生死)를 면하게 된다.
수다원은 16가지의 마음으로 삼계에 두루있는 88가지의 견도혹(見道惑)을 끊었지만,
사다함은 여기서 더 나아가 삼계에 널리 퍼져있는 수도혹(修道惑)을 끊는다.
수도혹(修道惑)이란 도를 닦는 과정에서 감정이나 의식의 미세한 작동이 일어나 도를 닦지 못 하게 하는 번뇌이다. 앞서 말한 견도혹이 후천적인 악습(惡習)이라고 한다면, 수도혹은 선천적인 악습(惡習)이다.
수도혹은 욕계의 탐(貪) · 진(瞋) · 치(痴) · 만(慢)과 색계, 무색계 각각의 탐(貪) · 치(痴) · 만(慢), 즉 총 10가지로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데, 너무나 세밀하여 그대로는 끊기가 어려우므로 욕계에 속해 있는 네가지 번뇌(四惑)를 일률적으로 아홉등분하여 차츰 차츰 끊으니,
이를 욕계의 구품수혹(九品修惑) 또는 사혹(思惑)이라 한다.
사다함은 이 구품 중 '육품'까지를 6生에 걸쳐 끊는다.
구품수혹이란,
상상품(上上品) · 상중품(上中品) · 상하품(上下品), 중상품(中上品) · 중중품(中中品) · 중하품(中下品), 하상품(下上品) · 하중품(下中品) · 하하품(下下品)을 말하는데,
먼저 상상품을 끊기 위해서는 二生, 즉 두차례 태어나야 하고, 다시 상중품, 상하품, 중상품을 끊기 위해서는 각각 一生씩이 요구되며, 중중품 · 중하품을 끊기 위해서는 이 둘을 합쳐서 一生이 요구되고, 나머지 하상품 · 하중품 · 하하품을 끊기 위해서도 역시 또 한 生이 요구된다.
사다함은 6生에 걸쳐 6품까지를 끊은 성문이므로 나머지 3품을 끊기 위해 한 生만 걸치면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사다함을 일왕래(一往來), 즉 '한번 다녀간다'고 하는 것이다.
③ 아나함(阿那含) :
아나가민(An g min)의 음역. 아나함은 성문의 세번째 지위로서 불래(不來)라 한역한다. 즉 인간세상에 다시는 오지 않는다는 뜻이다.
욕계의 9품수혹 중 6품을 끊고 사다함이 된 성문이 나머지 3품을 끊기 위해 다시 태어나 一生동안 다 끊어 아나함이 되고서는, 색계의 제4선천(第四禪天)의 일부인 오나함천(五那含天=무번천, 무열천, 선현천, 견견천, 색구경천)에 가서 태어나게 된다.
④ 아라한(阿羅漢) :
아르한(Arhan)의 음역. 아라한은 성문의 마지막 지위로서 수행이 최고의 극치에 이른 성인이다. 아라한은 '무적(無賊) · 불생(不生) · 응공(應供)'이라 번역하는데,
무적이라 함은 번뇌의 도적이 깨끗이 없어졌다는 뜻이고,
불생이라 함은 다시는 인간세상에 태어나지 않는다는 뜻이며,
응공이라 함은 인간세계와 하늘계에서 어떠한 공양이라도 받아도 타당하다는 뜻이다.
이러한 아라한이 끊어야 할 번뇌는 색계와 무색계의 수도혹으로서 탐(貪) · 치(痴) · 만(慢) 등 세 가지가 주구성성분이 된다.
이미 아나함의 과위를 얻은 이가 오나함천에 태어나 살피니, 아직 상계의 수도혹이 남았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그냥 끊기는 너무 미세하여 색계의 것을 넷으로, 무색계의 것도 넷으로 하여 총 여덟가지로 나누고, 이들 여덟가지 몫을 다시 각각 아홉등분으로 나누어 모두 72품으로 하는데,
이 중에서 71품까지를 끊으면 아라한향(雅羅漢向)이라 하고 72품을 다 끊어야 아라한이라 하는 것이다.
⑤ 무쟁삼매(無諍三昧) :
무쟁은 원어 아라나(Ara a)의 의역으로 "다툼이 없다"는 뜻이다. '다툼이 없다'는 것은 마음속에 갈등이 없다는, 즉 미혹이 없다는 것이다.
삼매(三昧)는 원어 사마디(Sam dhi)의 의역으로 산란한 마음을 한 곳에 모아 흩어지지 않게 하고, 또 마음을 바르게 하여 하나의 대상에만 마음을 집중시키는 일사불란한 정신통일의 경지를 말한다. 무쟁삼매는 몰입무아(沒入無我)상태로, 한마디로 마음속에 티끌만한 갈등이 없는 상태이다.
⑥ 아란나(阿蘭那) :
원어 아란야(Ara y )의 음역. 아란야(阿蘭若) 또는 아련야(阿練若) 등으로도 음역한다. 적정처(寂靜處), 무쟁처(無錚處), 원리처(遠離處)라고 의역한다.
즉 소음이 없는 조용한 곳으로서 수행하기에 적당한 숲, 들, 모래밭 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마을에서 소의 울음소리가 겨우 들릴정도로 떨어진 곳으로 정한다. 인가와 너무 먼 곳은 탁발(托鉢)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런 곳에서 일체의 욕망과 번뇌를 끊어버리고 무쟁삼매의 수행을 하는 것이 아란나행(阿蘭那行)인 것이다.
⑦ 아인사상 :
아상(我相) · 인상(人相) · 중생상(衆生相) · 수자상(壽者相)의 네개를 아인사상(我人四相) 또는 사상(四相)이라 하는데, 이것들은 중생들이 범하기 쉬운 집착상으로 이를 경계하라는 가르침이며, 또한 이러한 집착상에서 벗어나라는 가르침의 말이다.☞상속무상(相續無常)
아상(我相)은 '나'라는. 또는 '내것' 이라는, '나'로부터 출발하는 相에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
인상(人相)도 아상처럼 집착하는 모습의 하나인데, '남'을 의식하는 데에서 오는 행동과 생각을 말하는 것으로 '나와 남' 이라는 것으로 출발하는 차별심 · 분별심 등을 말하게 된다.
중생상(衆生相)은 괴로운 것을 싫어하고 즐거운 것을 탐내는 등 현실주의적인 행동이나 상념의 집착 相을 규정하는 말이다.
수자상(壽者相)은 인간은 선천적으로 길든 짧든간에 일정한 수명을 (하늘 또는 선천적으로) 받아 그 수명대로 살고 있다는 생각의 집착 相을 말한다.
⑧ 삼매(三昧) :
범어(梵語) samaani 音을 따 三摩地(삼마지), 三摩耶(삼마야) 또는 三昧(삼매)라고 한다.<마음이 움직이지 않아 생각이 일어났다 꺼졌다 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즉 [마음속의 산란함을 끊고 한곳에 마음을 모아 조금이라도 흔들림 없이 바른 마음, 망념이 없는 부동심의 경계]를 말한다.
그러므로 삼매란 세 가지를 잊어 버릴 정도로 몰두한 상태, 즉
① '관세음보살'을 부르다 주변을 잊어 버린 상태. ② '관세음보살'을 부르고 있는 자신을 잊어 버린 상태. ③ '관세음보살'을 계속 부르고 있으나 '관세음보살'을 부르고 있다는 그 자체도 잊고 한 점의 망념도 없이 정신은 오직 선명하면서도 성성히(분명하게) 깨어있는 상태로 적멸(고요)의 정신세계에 들어가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무쟁삼매(無諍三昧) :
무쟁은 원어 아라나(Ara a)의 의역으로 "다툼이 없다"는 뜻이다. '다툼이 없다'는 것은 마음속에 갈등이 없다는, 즉 미혹이 없다는 것이다.
삼매(三昧)는 원어 사마디(Sam dhi)의 의역으로 산란한 마음을 한 곳에 모아 흩어지지 않게 하고, 또 마음을 바르게 하여 하나의 대상에만 마음을 집중시키는 일사불란한 정신통일의 경지를 말한다. 무쟁삼매는 몰입무아(沒入無我)상태로, 한마디로 마음속에 티끌만한 갈등이 없는 상태이다.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_()_
'심금의 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11 .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 무위의 복이 뛰어나다 (0) | 2010.02.10 |
---|---|
금강경 10 ,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부처님 세상을 장엄하다 (0) | 2010.02.10 |
금강경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 법에 의지해 태어나다 (0) | 2010.02.10 |
금강경 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얻을 것도 없고 설할 것도 없다 (0) | 2010.02.10 |
금강경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 바른 믿음은 희유하다 (0) | 201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