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10 ,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부처님 세상을 장엄하다
구법여행을 떠나는 현장법사
법을 구하려 죽음을 각오한 목숨을 건 여행, 사막을 넘어 서역으로 떠났던 많은 당시의 승려들 ...
지금의 나는 어떠한가 돌이켜봅니다.
10 ,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부처님 세상을 장엄하다
佛告須菩提 於意云何 如來 昔在燃燈佛所 於法 有所得不
불고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석재연등불소 어법 유소득부
不也 世尊 如來在燃燈佛所 於法 實無所得 須菩提 於意云何
불야 세존 여래재연등불소 어법 실무소득 수보리 어의운하
菩薩 莊嚴佛土不 不也 世尊 何以故 莊嚴佛土者 卽非莊嚴 是名莊嚴
보살 장엄불토부 불야 세존 하이고 장엄불토자 즉비장엄 시명장엄
是故 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生淸淨心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시고 수보리 세보살마하살 응여시생청정심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應無所住 而生其心 須菩提 譬如有人 身如須彌山王 於意云何 是身 爲大不
응무소주 이생기심 수보리 비여유인 신여수미산왕 어의운하 시신 위대부
須菩提言 甚大 世尊 何以故 佛說非身 是名大身
수보리언 심대 세존 하이고 불설비신 시명대신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기를, " 네 생각이 어떠하냐 ?
여래가 옛적에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법에 대하여 무엇을 얻은 것이 있느냐 ? "
"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연등부처님 처소에 계실 적에 법에 대하여 실로 얻은 것이 없습니다. "
" 수보리야, 네 생각이 어떠하냐 ? 보살들이 불국토를 장엄하는가 ? "
"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보살이 세상을 장엄한다는 것은 곧 장엄이 아니며,
그 이름이 장엄일뿐이기 때문입니다. "
" 그러므로 수보리야, 모든 보살들은 반드시 이와 같이 텅 빈 마음(淸淨心 : 청정심)을 낼지니라.
반드시 소리와 냄새와 맛과 감촉과 법에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내어야 하나니,
아무데도 집착 없이 마음을 내어야 하느니라. "
금강경 핵심 사구게
應無所住 而生其心 응무소주 이생기심
아무데도 집착없이 마음을 내어야 하느니라.
월호 스님의 한글 넉자배기 금강경
금강경 제10분과 : 머무르지 말고 마음을 내라
부처님이 말하셨다. 너의 뜻에 어떠하냐 ?
여래가 - 과거세에 연등부처 회상에서
얻은 법이 있겠느냐 ?
없습니다. 세존이여! 여래께서 연등부처
회상에서 얻은 법이 없습니다.
수보리야 너의 뜻이 어떠하냐 ?
보살이 - 불국토를 장엄하고 있겠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여! 왜냐하면 불국토를
장엄한다 생각하면 참 장엄이 아니므로
그 이름이 장엄함이 되옵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야! 모든 보살 마하살이
이와 같이 청정한 맘 일으키되, 물질에도
머무르지 아니하고 소리향기, 맛과 감촉,
알음알이 어디에도 머무르지 않아야 -
할 것이니, 머무르는 바가 없이 그 마음을
내어야 할 것이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어떤 사람 몸뚱이가
수미산 왕 같다하면 너의 뜻에 어떠하냐 ?
몸뚱이가 큰 것이냐 ?
엄청나게 크옵니다, 왜냐하면 부처님이
말하시는 몸뚱이는 참 몸뚱이 아니므로
그 이름이 큰 몸뚱이 이옵니다.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 자신과 만나는 시간
월호스님 금강경강의 : BBS 불교방송에서
해 설
금강경 莊嚴淨土分 (第 十) 제 10 : 장엄정토분 (장엄이라 하는 것은? )
① 연등불(燃燈佛) :
원어는 디판카라 타트하가타(Aipankara-Tath gata). 과거세의 부처님으로 세존 이전에 나타났다고 전설적으로 전하는 24명의 부처님 가운데 한 분으로 정광불(淨光佛)이라고도 한다.
세존이 전생에 스미다라는 보살로서 보살도를 닦는 한 고행자였을 때, 개척중인 험한 길바닥에 누워 연등불로 하여금 자기 머리털을 밟고 지나가게 했다고 한다.
연등불은 세존에게 '너는 후에 석가족에 태어나 성자가 되리라'하는 수기(授記)를 주었다고 한다. '데비사바론' 제178권에 보면,
'묻기를, 이 四바라밀다를 닦을 때 각각 겁아승기야(劫阿僧企耶)에 있어서 몇 명의 부처님을 만났는가? 답하기를, 초겁아승기야(初劫阿僧企耶)에 있어서 칠만 오천명의 부처님을 만났는데, 맨처음을 석가모니라 부르고 맨 나중을 보수(寶鬚)라 부른다.
제2겁아승기야에서는 칠만 육천명의 부처님을 만나는데, 맨 처음을 보수라 부르고, 맨나중을 연등(燃燈)이라 한다.
제3겁아승기야에서는 칠만 칠천명의 부처님을 만나는데, 최초는 연등이고 최후는 승관(勝觀)이라 부른다.
상이숙업(相異熟業)을 닦는 91겁 중에서 여섯 명의 부처님을 만나는데, 최초는 승관이고 최후는 가섭파(迦葉波)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것은 석가보살에 의해서 설해지는 것을.'라고 되어 있다.
만일 다른 보살이라면 부정(不定)이다. 이와 같이 석가보살은 가섭파보살시대에 있어서 四바라밀다를 먼저 나누어서 충족시키고, 이제 상이숙업을 잘 원만하게 하여, 이 첨부주(瞻部洲)에서 죽어, 도사다천(睹史多天)에 태어나, 천취(天趣)의 마지막 이숙(異熟)을 받는다_[중일아함경 제11,13,40권, 수행본기경, 대지도론 제4권 등 참조] ☞내용 처음부터
② 불토를 장엄한다(莊嚴佛土) :
장엄이란 훌륭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국토를 가꾸고 꾸미며, 또 훌륭한 공덕을 쌓아서 몸을 장식하고 꽃과 향을 부처님께 올려서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불토는 부처님 계시는 맑고 깨끗한 국토를 말한다. 불토에는 세간불토(世間佛土) · 신불토(身佛土) · 심불토(心佛土)의 세 가지가 있다. 세간불토는 절을 짓고 경을 간행하고 보시를 하고 공양하는 것을 말한다.
신불토는 모든 사람들을 두루 공경하는 것이고,
심불토는 마음이 청정한 것을 말한다.
세간불토와 신불토의 두 장엄은 유상(有相)한 것이므로 물질적인 것이지만, 심불토는 무상(無相)한 것이므로 정신적인 것이다. 여기서는 부처님이 물질적인 장엄을 물으신데 대해 수보리존자가 정신적인 것으로써 답한 것이다.
③ 수미산왕(須彌山王) :
원어 수메르 파르바타(Sumeru-parvata)의 음역. 수미루(修迷樓), 소미로(蘇迷盧)라 음역하기도 하고, 묘고(妙高), 묘광(妙光) 등으로 의역하기도 한다.
고대 인도의 신화적 우주관에서 전해 오는 아주 큰 산(수미산)이다.
이 세계의 제일의 큰산 밑에는 아래쪽에 풍륜(風輪), 그 위에 수륜(水輪), 그 위에 금륜(金輪)이 있고, 또 그 위에 아홉개의 산(九山)과 여덟개의 바다(八海)가 있다고 전한다. 그 중심이 수미산이라는 큰 산이며, 우주에서 제일 높고 크고 또 중심이 되는 산이다. 높이는 8만 4000유순(1유순은 약 60리)이고, 해와 달이 이 산의 중턱을 지난다고 한다.
산의 정상에는 제석천(帝釋天)이 살고 있으며, 중턱에는 사천왕(四天王)이 살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수미산왕이라고 한 것은 수미산이 모든 산 가운데 가장 높고 크기 때문이다.[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_()_
'심금의 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 올바른 가르침은 존중되어야 한다 (0) | 2010.02.10 |
---|---|
금강경 11 .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 무위의 복이 뛰어나다 (0) | 2010.02.10 |
금강경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하나의 모양도 모양이 없다 (0) | 2010.02.10 |
금강경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 법에 의지해 태어나다 (0) | 2010.02.10 |
금강경 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얻을 것도 없고 설할 것도 없다 (0) | 201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