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17 ,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 철저히 "내" 가 없다
금강경
17 ,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 철저히 "내" 가 없다
爾時 須菩提 白佛言 世尊 善男子善女人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
이시 수보리 백불언 세존 선남자선녀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云何應住 云何降伏其心 佛告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者
운하응주 운하항복기심 불고수보리 약선남자선녀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當生如是心 我應滅度一切衆生 滅度一切衆生已 而無有一衆生 實滅度者
당생여시심 아응멸도일체중생 멸도일체중생이 이무유일중생 실멸도자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 有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 卽非菩薩 所以者何 須菩提 實無有法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 즉비보살 소이자하 수보리 실무유법
發阿뇩多羅三먁三菩提心者 須菩提 於意云何 如來於燃燈佛所 有法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어연등불소 유법
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不 不也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佛於燃燈佛所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부 불야 세존 여아해불소설의 불어연등불소
無有法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佛言 如是如是 須菩提 實無有法
무유법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불언 여시여시 수보리 실무유법
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須菩提 若有法 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者
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 약유법 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자
燃燈佛 卽不與我授記 汝於來世 當得作佛 號釋迦牟尼 以實無有法
연등불 즉불여아수기 여어내세 당득작불 호석가모니 이실무유법
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是故 燃燈佛 與我授記 作是言 汝於來世 當得作佛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시고 연증불 여아수기 작시언 여어래세 당득작불
號釋迦牟尼 何以故 如來者 卽諸法如義 若有人言 如來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호석가모니 하이고 여래자 즉제법여의 약유인언 여래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須菩提 實無有法 佛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須菩提 如來所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수보리 실무유법 불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수보리 여래소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於是中 無實無虛 是故 如來說一切法 皆是佛法 須菩提 所言一切法者
어시중 무실무허 시고 여래설일체법 개시불법 수보리 소언일체법자
卽非一切法 是故 名一切法 須菩提 譬如人身長大 須菩提言 世尊
즉비일체법 시고 명일체법 수보리 비여인신장대 수보리언 세존
如來說 人身長大 卽爲非大身 是名大身 須菩提 菩薩 亦如是 若作是言
여래설 인신장대 즉위비대신 시명디샌 수보리 보살 역여시 약작시언
我當滅度無量衆生 卽不名菩薩 何以故 須菩提 實無有法 名爲菩薩
아당멸도무량중생 즉불명보살 하이고 수보리 실무유법 명위보살
是故 佛說一切法 無我無人無衆生 無壽者 須菩提 若菩薩 作是言
시고 불설일체법 무아무인무중생 무수자 수보리 약보살 작시언
我當莊嚴佛土 是不名菩薩 何以故 如來說莊嚴佛土者 卽非莊嚴
아당장엄불토 시불명보살 하이고 여래설장엄불토자 즉비장엄
是名莊嚴 須菩提 若菩薩 通達無我法者 如來說名眞是菩薩
시명장엄 수보리 약보살 통달무아법자 여래설명진시보살
< 그러자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의 깨달음에대해 물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이 일어나면
이에 어떻게 응하여 머무르는지 일러주시고 이에 어떻게 그마음에
기존마음이 항복해야 하는지를 일러주십시요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말씀하시길, 만약 선남자선여인에서 (위없는 본래의 깨달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이는 마땅히 이같은 마음으로 임해야하느니라.
내가 응하여 일체중생을 법으로멸하여 제도한다하나 이미 일체중생은
법으로멸한바이니. 이는 단하나의중생도 실로 멸도하여 제도한것이 없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여! 만약 보살이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있다면 곧 보살이 아니니라.
어찌그런가하면 수보리여! 실로 법이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이니라.
수보리여! 그대의뜻은 어이한고, 여래가 연등부처님과 있을때 법이라는것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말씀을 바로 이해하기로는 부처님이 연등부처님과
계실때에 법이라는것이 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셨습니다.
부처님이 말씀하시길, 그렇고 그렇다 수보리여! 실로 법이라는것이 없음으로써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니라.
수보리여! 만약 법이있음으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것이라면
곧 그렇게 밝고밝으신 연등부처님이 같이 계실때에 나에게 기록해주시길.
그대는 다가올 세상에 마땅히 부처가될지니 석가모니의 이름을 얻을것이라 하셨겠는가?
이는 실로 법이라는것이 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것이니라.
이런고로 연등부처님이 더불어계실때에 나에게 기록하고 이르시길, 그대는 다가올 세상에
반드시 부처를 이루고 석가모니란 이름을 얻게 된다고 하신것이니라. 왜냐하면
여래라고 하는것이란 곧 모든법의 주장과 같은것이니 만약 어느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 하고 한것이니라.
수보리여! 실로 법이라는것이 없음으로써 부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것이니라.
수보리여! 여래가 이른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음에는 실도없고 허도 없느니라.
이런고로 여래가 설한 일체의 법은 모두 이는 부처님의법이니라.
수보리여! 소위 말하는 일체의 법이라는것은 곧 일체법이 아니니라.
이런고로 이름만의 일체법이니라. 수보리여! 비유한다면 사람의몸이
길고크다는것과 같은것이니라. 수보리 말하길, 세존이시여! 여래게서 사람이 길고크다고
설하신것은 곧 몸이 길고크다는것이 아닙니다. 이는 이름만의 큰몸입니다.
수보리여! 보살도 또한 이와 같아. 만약 내가 마땅히 수많은 중생을 멸도구제한다고
생각하거나 말한다면 곧 보살이라 부르지 못하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실로 법이 없음으로써 보살이라 이름하기 때문이니라.
이런고로 부처님이 설하신 일체의법은 나도없고 남도없고 무리지음도없고 오래삶도없느니라.
수보리여! 만약에 보살이 내가 마땅히 부처님나라를 굳건히하는 장엄불토를 생각하고 말한다면
이는 보살이라 부르지 못하리라. 왜냐하면 여래가 설한 장엄불토라는 것은 곧 장엄이
아니며 이는 그이름만의 장엄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여! 만약 보살이 자신의법이라는것이 없음을 사무치도록 통한다면 여래가 부르길 참다운
보살이라 부르리라. >
월호 스님의 한글 넉자배기 금강경
금강경 제17분과 : 결국엔 " 나 " 란 없다
그 때에 -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여, 선남자와 선여인이 최상 가는
깨달음의 마음을 - 내었다면, 그 마음을
어떻게 - 머무르며 어떻게 - 항복 받아
마땅함이 되오리까 ?
부처님이 말하셨다. 선남자와 선여인이
최상 가는 깨달음의 마음을 - 내었다면
' 내가 응당 일체중생 멸하여서 제도하리 '
생각하라. 일체중생 멸하여서 제도하여
마치어도 실제로는 한 중생도 멸도된이
없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보살에게 아상 인상.
중생상과 수자상이 있다면은 참 보살이
아니니라.
그 까닭이 무엇인가 ? 수보리야,
실제로는 어떤 법도 없으므로 최상 가는
깨달음의 마음을 - 내느니라.
수보리야, 너의 뜻이 어떠하냐 ?
여래께서 연등부처 처소에서 법이 있어
최상 가는 깨달음을 얻었느냐 ?
아닙니다. 세존이여! 부처님이 연등부처
처소에서 법이 있어 최상 가는 꺠달음을
얻은 것이 아닙니다.
부처님이 말하셨다. 그와 같고 그와 같다.
실제로는 어떤 법도 없으므로 여래께서
최상 가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느니라.
만약에 - 법이 있어 여래께서 최상 가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면은 연등불이
이르기를, ' 그대가 - 오는 세상 석가모니
부처되리. ' 수기하지 않았을 - 것이니라.
실제로는 어떤 법도 없으므로 최상 가는
깨달음을 얻음이니, 그러므로 연등불이
수기하되, ' 그대가 - 오는 세상 석가모니
부처되리. ' 했느니라.
왜냐하면 여래란 - 모든 법에 여여하단
뜻이니라. 어떤 사람 말하기를 여래께서
최상 가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면은,
수보리야, 실제로는 어떤 법도 없으므로
부처님이 최상 가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께서 얻으신 바 최상 가는
깨달음은 실하지도 허하지도 않느니라.
그러므로 여래께서 설하시길, 일체 법이
모두다 - 불법이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 일체 법은 일체 법이 아니므로
그 이름이 일체 법일 뿐이니라. 수보리야,
비유컨대 어떤 사람 몸뚱이가 장대함과
같으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세존이여, 여래께서
말씀하신 몸뚱이가 크다 함은 큰 몸뚱이
아니므로 그 이름이 큰 몸뚱이 이옵니다.
수보리야, 보살 또한 이와 같아 만약에 -
말을 하되, 내가 응당 무량 중생 멸도했다
이른다면 보살이라 이름할 수 없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실제로는 어떤 법도
없는 것을 이름하여 보살이라 하느니라.
그러므로 부처님이 이르시길, 일체 법이
' 나 '도 없고, ' 남과 다른 ' 나 ' 도 없고 ' 살아있는
나 ' 도 없고, ' 목숨이 - 계속되는 나 ' 도 없다
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약에 - 보살로서 이르기를
' 내가 응당 불국토를 장엄하리 ' 한다면은,
보살이라 이름할 수 없느니라.
무아법을 통달해야, 참다운 - 보살이라.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 자신과 만나는 시간
월호스님 금강경강의 : BBS 불교방송에서
해 설
究竟無我分 (第 十七) 제 17 : 구경무아분
① 어떻게 그 마음을 바로 머물게 하여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굴복시켜야 하오리까(云何應住 云何降伏其心) : 얼핏 보기에는 제17 구경무아분과, 제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의 말씀이 같으나, 그 내용은 각기 다른 의미이다.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의 내용은 _단순히 어떻게 머무르고, 어떻게 수행하오리까 ? 하는 물음의 내용이며,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에서는 _어떤 사람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었다면 진정 '나'가 없어야 하는데, '나'가 없다면 무엇이 머무르고 무엇이 그 마음을 항복시키오리까 ? 하는 의미이다.
② 수기(授記) :
원어 비야카라나(Vyakarana)의 한역. 수기(授記, 受記), 수결(受決), 수별(受別)이라고도 번역한다. 부처님이 어떤 사람에게 '장래에 깨달은 사람이 될 것이다'라고 미리 예언하는 것으로 세존은 연등불에게서 '석가모니불'이 되리라는 수기를 받으셨다.
③ 석가모니(釋迦牟尼) :
원어는 사카무니(Sakyamuni). 우리나라에서는 석가모니 혹은 서가모니 등으로 부르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석가모니라고 하고 있다. 존경의 뜻으로 세존(世尊) 또는 석존(釋尊)이라고도 한다.
사카(Sàkya)는 종족의 이름, 무니(Muni)는 성자라는 뜻이다.
석가모니는 중인도 가비라(迦毘羅; Kapila)성주인 정반왕(淨飯王; Suddhodana)의 태자로 B.C.623년 4월 8일에 룸비니 동산 무우수(無憂樹) 아래에서 마야부인을 어머니로 탄생하였다.
탄생 즉시 사방으로 7보를 걸으면서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이라고 외쳤다고 한다. 태어난지 7일만에 어머니인 마야부인을 잃고 이모인 파사파제를 양모로 하여 성장을 했다. 어릴 때의 이름은 교답마(고타마) 혹은 실달타라 했으며, 점차 자라면서 학문과 무예에 능하고 탁월하여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선강왕의 딸 야수다라(Ya odhara)와 결혼하여 아들 라후라(Ràhula)를 낳았다.
석가모니는 항상 생로병사를 두고 고민의 나날을 보내다가 29세 때 드디어 출가할 뜻을 내어 성을 탈출하여 동방의 람마성(藍摩城)밖 숲속에서 속세의 옷을 벗어버리고 출가했다.
그 다음 남방으로 비야리, 마갈타를 지나 다니면서 발가바(跋伽婆), 아람가람(阿藍伽藍), 울다라(鬱陀羅) 등의 선인(仙人)을 만나 6년동안 고행을 한 끝에 금욕만으로는 아무 이익이 없음을 알고, 불타가야(佛陀伽耶;Buddhagaya)의 보리수 밑에 앉아 사유하여 마침내 크게 깨달아 부처가 되었다.
그 때 그의 나이가 35세였다. 이후로 스스로 깨달은 교법을 널리 알리고자 먼저 녹야원(鹿野苑)에 가서 아야교진여(阿若교陳如) 등 다섯사람을 교화하고, 그 다음에 가섭, 사리불, 목건련 등을 제도하여 교단을 조직하고, 깨달은 뒤 3년만에 가비라성 벌솔도에 돌아가서 부왕을 뵙고 친족들을 제도했다.
한편 여러나라로 다니면서 빔비사라, 아사세, 바사닉 등 여러 왕들을 교화하여 불교에 귀의하게 하였다. 중생제도에 일생을 바치고 북방의 구시나라가城 밖 발데하(跋提河) 언덕 사라쌍수 아래 누워 최후의 교계(敎戒)를 하고 난 후 기원전 544년 2월 15일에 80세로 열반하셨다. 그리고 오늘날 '불교'의 '교조'로 모셔지고 있는 것이다.
④ 불토를 장엄케 하리라(當莊嚴佛土) :
불국토를 장엄하는 일이 제10 장엄정토분의 의문으로도 말씀됐고 여기서도 말씀해서 중복되는 감이 있지만, 앞에서는 부처님이 그런 일을 어떻게 하셨는가를 말씀하신 것이고, 여기서는
보리의 법을 얻을 수 없다면 누가 이런 보살행을 하겠는가 하는 내용이니, 앞에서는 얻을 것이 있으리란 집착에서 연유된 법문이고, 여기서는 불국토를 장엄할 사람 즉 보살이 있어야 되겠다는 집착에서 연유된 법문이라 할 수 있다.
⑤ 무아법에 통달한 사람(通達無我法者) :
무아는 원어 아나트만(Anâtman)의 번역어. 흔히 범부(凡夫)들은 우리의 몸과 마음이 상일주재(常一主宰)하도록 작용하는 영구불변의 주체를 아(我)라고 믿고 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이런 我라는 것을 부정하여 '나'라는 실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우리의 몸과 마음은 오온(五蘊)이 가정적으로 화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나'라는 존재는 없는 것이라 하며 실아(實我)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것을 인무아(人無我)라고 한다.
또 흔히 범부들은 모든 법에 대해서 실아(實我)가 있고 실법(實法)이 있다고 생각하나, 실은 인연화합으로 생긴 가법(假法)이므로 따로 법이라 할 것이 없다. 이것을 법무아(法無我)라 한다.
무아법(無我法)은 내가 없다고 하는 법이니, 법 또한 없는 것이다. 따라서 만상은 법아(法我)가 있다고 하는 생각은 그릇된 생각이므로 모든 법은 전부 무아라 했다. 부처님은 무아법에 통달한 자가 참보살이라고 설하시는 것이다.
***연등불(燃燈佛) :
원어는 디판카라 타트하가타(Aipankara-Tath gata). 과거세의 부처님으로 세존 이전에 나타났다고 전설적으로 전하는 24명의 부처님 가운데 한 분으로 정광불(淨光佛)이라고도 한다.
세존이 전생에 스미다라는 보살로서 보살도를 닦는 한 고행자였을 때, 개척중인 험한 길바닥에 누워 연등불로 하여금 자기 머리털을 밟고 지나가게 했다고 한다.
연등불은 세존에게 '너는 후에 석가족에 태어나 성자가 되리라'하는 수기(授記)를 주었다고 한다. '데비사바론' 제178권에 보면,
'묻기를, 이 四바라밀다를 닦을 때 각각 겁아승기야(劫阿僧企耶)에 있어서 몇 명의 부처님을 만났는가? 답하기를, 초겁아승기야(初劫阿僧企耶)에 있어서 칠만 오천명의 부처님을 만났는데, 맨처음을 석가모니라 부르고 맨 나중을 보수(寶鬚)라 부른다.
제2겁아승기야에서는 칠만 육천명의 부처님을 만나는데, 맨 처음을 보수라 부르고, 맨나중을 연등(燃燈)이라 한다.
제3겁아승기야에서는 칠만 칠천명의 부처님을 만나는데, 최초는 연등이고 최후는 승관(勝觀)이라 부른다.
상이숙업(相異熟業)을 닦는 91겁 중에서 여섯 명의 부처님을 만나는데, 최초는 승관이고 최후는 가섭파(迦葉波)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것은 석가보살에 의해서 설해지는 것을.'라고 되어 있다.
만일 다른 보살이라면 부정(不定)이다. 이와 같이 석가보살은 가섭파보살시대에 있어서 四바라밀다를 먼저 나누어서 충족시키고, 이제 상이숙업을 잘 원만하게 하여, 이 첨부주(瞻部洲)에서 죽어, 도사다천(睹史多天)에 태어나, 천취(天趣)의 마지막 이숙(異熟)을 받는다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_()_
'심금의 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19 ,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법계를 모두 교화하다 (0) | 2010.02.10 |
---|---|
금강경 18.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 한 몸으로 동일하게 보다 (0) | 2010.02.10 |
금강경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업장을 깨끗이 맑혀야 한다 (0) | 2010.02.10 |
금강경 15 ,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 경전을 수지하는 공덕 (0) | 2010.02.10 |
금강경 14 ,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 모양을 떠난 적멸에 대해 (0) | 201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