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19 ,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법계를 모두 교화하다
금강경
19 ,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법계를 모두 교화하다
須菩提 於意云何 若有人 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 以是因緣 得福多不
수보리 어의운하 약유인 만삼천대천세계칠보 이용보시 시인 이시인연 들복다부
如是 世尊 此人 以是因緣 得福甚多
여시 세존 차인 이시인연 득복심다
須菩提 若福德 有實 如來不說得福德多 以福德 無故 如來說得福德多
수보리 약복덕 유실 여래불설득복덕다 이복덕 무고 여래설득복덕다
금강경
19 ,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 법계를 모두 교화하다
" 수보리야, 네 생각이 어떠하냐 ?
만일 어떤 사람이 3천대천 세계에 가득한 7 보를 가지고 널리
보시한다면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 얻은 복이 많겠느냐 ? "
"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이 인연으로 얻은 복이 매우 많겠나이다. "
" 수보리야, 만일 복덕이 그 실체가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복덕이 많다고 말하지
아니하련만 복덕이 없는 것이므로 여래가 복덕이 많다고 말하였느니라. "
월호 스님의 한글 넉자배기 금강경
금강경 제19분과 : 법계는 통해 있다
수보리야, 너의 뜻에 어떠하냐 ?
어떤이가 삼천대천 세계에 - 가득 차는
칠보로서 보시하면, 이러한 - 인연으로
얻은 복이 많겠느냐 ?
많습니다. 세존이여 ! 이 사람은 이러한 -
인연으로 얻는 복이 무척이나 많습니다.
수보리야, 복과 덕이 실한 모양 있다면은
여래께서 복과 덕이 많다고 - 설하지는
않으리라.
복과 덕이 없으므로 여래께서 복과 덕이
많다고 - 설하시는 것이니라.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 자신과 만나는 시간
월호스님 금강경강의 : BBS 불교방송에서
해 설
法界通化分 (第 十九) 제 19 : 법계통화분
① 삼천대천세계를 가득 채울만한 칠보로써 보시를 한다면
(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 이 비유구절은 금강경 도처에서 볼 수 있다. 즉
제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의 만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를 가득채울만큼 칠보로써 보시를 한다면 (滿三千大千世界七寶以用布施 ···'
제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의 만일 항하의 모래수 만큼이나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가지고 그것으로 보시를 한다면 (以七寶 滿爾所恒河沙數 三千大千世界 以用布施) ···'
제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의 저 항하의 모래만큼처럼 몸이나 목숨으로 보시를 한다면 (以恒河沙等身命布施) ···
제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의 아침나절에 항사의 모래만큼을 몸으로써 보시하고 (初日分 以恒河沙等身布施) ···
제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의 만일 삼천대천세계를 가득 채울만큼 칠보로써 보시를 한다면 (滿三千大千世界七寶以用布施) ···
제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의 만약 삼천대천세계 가운데 있는 모든 수미산왕만한 칠보를 가지고 어떤 사람이 보시를 한다면 (若三千大千世界中 所有諸須彌山王如是等七寶聚 有人持用布施) ···
제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의 만일 항하의 모래만큼과 같은 칠보를 가지고 보시를 한다면 (以滿恒河沙等世界七寶持用布施) ···
제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의 만일 무량아승기세계를 가득 채울만한 칠보를 가져다가 보시를 한다면 (以滿無量阿僧祇 世界七寶 持用布施) ···
_☞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② 복덕(福德) :
복은 복리, 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복되게 하는 것이고, 德은 얻었다는 뜻이다.
즉 복을 얻었다는 뜻으로 복덕이라 한다. ☞ 공덕.
*** 공덕(功德) :
원어 구나(Guña)의 의역. 구나(求那), 구낭(懼囊)이라 음역하기도 한다.
좋은 행을 지어 쌓은 공(功)과 불도를 수행한 덕(德)을 말한다.
공(功)은 공능(功能)이라고 하여, 功을 베푸는 것이고 그 대가가 자기에게 돌아옴을 덕이라고 한다. 또 일설에는 惡이 다함을 功이라 하고 善이 가득함을 덕이라 하는데, 덕은 얻었다는 뜻이고 공을 닦은 뒤에 얻는 것이므로 공덕이라고 말하고 있다.
복덕(福德)과 같은 뜻으로도 쓰이고, 福은 복리(福利), 즉 善을 수행하는 이(者)를 도와서 복되게 하는 것이고 복의 덕이므로 복덕이라 한다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_()_
'심금의 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21 ,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 말도 말할 것도 없다 (0) | 2010.02.10 |
---|---|
금강경 20 ,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 사물도 떠나고 형상도 떠나다 (0) | 2010.02.10 |
금강경 18.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 한 몸으로 동일하게 보다 (0) | 2010.02.10 |
금강경 17 ,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 철저히 "내" 가 없다 (0) | 2010.02.10 |
금강경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업장을 깨끗이 맑혀야 한다 (0) | 201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