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지나고 세상이 변해갈 수록 "사기"도 그 모습을 바꿔가면서 계속 소비자들을 괴롭히고 있습니다. 이런 사기성 거래행위가 만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사기 행위가 사실인 것처럼 여겨지거나 보이기 때문입니다.
사기 행위인지 알기위해 스스로 적절히 체크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결정을 내리기 전 자문하고 신중히 생각하여 현장에서 이것이 사기인지 도움이 필요한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때론 이러한 결정을 하는데 며칠이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둘째, 사기꾼들은 그들이 원하는 응답을 얻기 위하여 소비자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소비자의 인성과는 무관한 것이며 사기꾼들은 소비자 스스로 응답을 해버리도록 조절하여 소비자를 사기에 빠지게 합니다.
따라서 널리 퍼져있는 몇 가지 사기수법을 알고만 있다면 분명 "사기를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보호원이 3월 사기피해방지의 달을 맞이하여 제안하는 사기수법을 잘 숙지하시고 다시는 사기를 당하지않도록 해야겠습니다.(링크는 이벤트가 진행중인 곳으로 연결됩니다.)
<우리가 늘 당하는 사기수법 BEST6>
1. 공짜선물 등 미끼 던지기
선물 등 미끼를 던져놓고 보답을 해야한다는 심리적 부담을 유발합니다
▷ 대응방법 : 무료 선물을 주신다고요? 저는 대가를 치러야 하는 그 어떤 것도 받고 싶지 않습니다
2.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는 등 희소성 강조
제안이 자주 있는 것이 아니며 기간 및 계약 건수가 제한되어 있음을 주장하여 성급한 구매결정을 강요합니다
▷ 대응방법 : 만약 그렇게 좋은 제안이라면 제가 다른 의견을 들어볼 수 있도록 기다릴수 있어야 하는데요
3. 친근한 인간관계 형성
농담, 칭찬 등을 통해 가까운 인간관계를 형성, 제안을 거절하기 어렵게 합니다.
▷대응방법 : 제발 듣기좋은 말로 몰아치지 마세요. 저는 준비가 되었을 때 결정을 내릴 것입니다
4. 전문가나 공신력있는 기관 등을 사칭 권위를 강조
자신의 주장이나 판매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나 공신력있 는 기관을 사칭합니다.
▷ 대응방법 : 당신의 주장이나 제안이 객관적으로 보증된 것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5. 약속이행 부담주기
일정한 제안으로 소비자를 설득하고 이 사실을 상기시키며 그보다 부담 이 큰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유도합니다.
▷ 대응방법 : 당신의 제안은 나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네요
6. 공동체 의식 부여
“다른 사람들도 다하고 있음을 강조,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다” 라는 사 실을 주지시키려 듭니다.
▷ 대응방법 : 나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보다는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하고 싶습니다.
'종이와 연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종 사기전화 (0) | 2009.03.07 |
---|---|
[스크랩] 음반 저작권법 전송권이 기각 (0) | 2009.03.07 |
[스크랩] 인터넷 사기 유형 best 5 (0) | 2008.03.16 |
[스크랩] 대박할인 상품권, 사업자와 연락두절되기도 해 (0) | 2008.03.16 |
[스크랩] [사기의 종류] 인터넷을 이용한다. (0) | 2008.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