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 텅 빈 마음으로 선행을 하다 금강경
금강경
23 ,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 텅 빈 마음으로 선행을 하다
復次 須菩提 是法平等 無有高下 是名阿뇩多羅三먁三菩提
부차 수보리 시법평등 무유고하 시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
以無我無人無衆生無壽者 修一切善法 卽得阿뇩多羅三먁三菩提
이무아무인무중생무수자 수일체선법 즉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須菩提 所言善法者 如來說卽非善法 是名善法
수보리 소언선법자 여래설즉비선법 시명선법
23 ,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 텅 빈 마음으로 선행을 하다
" 또 수보리야, 이 도리는 평등해서 높고 낮음이 따로 없으니 이를
아눗다라삼약삼보리라 하니라.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명도 없이 온갖 착한 법을 닦으면 즉시에
아눗다라삼약삼보리를 얻느니라.
수보리야, 착한 법이란 여래가 말하기를 '착한 법이 아니요 그 이름만 착한 법이다.' 하느니라. "
월호 스님의 한글 넉자배기 금강경
금강경 제23분과 : 맑은 마음으로 선법을 행하라
다시 또한 수보리야, 이 법은 - 평등해서
높고 낮지 않으므로 그 이름이 최상 가는
깨달음인 것이니라. 아. 인. 중생. 수자 없이
일체 선법 닦는다면 최상 가는 깨달음을
바로 얻게 되느니라.
수보리야, 이른 바 - 법이란 - 여래께서
설하기를 착한 법이 아니므로 그 이름이
착한 법인 것이니라.
당신이 주인공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 자신과 만나는 시간
월호스님 금강경강의 : BBS 불교방송에서
해 설
淨心行善分 (第 二十三) 제 23 : 정심행선분
① 이 법은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있을 수 없다(是法平等 無有高下) :
불교에서 평등이라 함은, 높고 낮고, 깊고 얕고, 크고 작고, 많고 적고 하는 차별이 없는 - 한결같이 법의 근본이 되는 원리.., 만유의 본체를 말하는 것이다.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인간은 물론 축생 · 아수라에 이르기까지도 평등하고 무차별한 본질을 지니고 있음(나와 다르지 않음을 아는 마음자리의 깨달음)을 말하는 것이다.
마음이 지극히 맑고 깨끗하며(탐진치가 일어나지 않아) 얽매임이 없어야만(탐진치에 의한 애욕이나 애착등이 일어나지 않는 마음자리에서) 평등심을 얻을 수 있다.
부처와 중생이 다른 점이란, 부처는 사물에 집착하는 번뇌에서 해탈하고 있으며 다른 사물에 흔들림이 없지만, 중생은 제 몸이나 마음에 알맞는 경계, 즉 순경(順境)을 벗어날 때에는, 탐욕이라는 번뇌가 생기고, 자신의 몸과 마음에 고통을 주는 경계, 즉 위경(違境)일 때에는 진(賑)의 번뇌가 생긴다.
이러한 순경이나 위경에 있을 경우, 높고 낮음 없는 평등을 지키지 못 하고 아상(我相) · 인상(人相) · 중생상(衆生相) · 수자상(壽者相) 같은 사상(四相)과 함께, 색(色) · 성(聲) · 향(香) · 미(味) · 촉(觸) · 법(法) 같은 육진(六塵)에 물들고, 더럽혀지는 것이다.
이리하여 중생은 자기의 자성이 불성인 줄 알면서도, 생각과 행동이 바르지 못 하게 된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이러한 육진(六塵)과 사상(四相)에 얽매이고, 집착하는 한, 절대로 이룰 수 없다는 것이다.
보리를 이룰 수 없다 라는 내용에 대해 _'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과 구경무아분(究竟無我분),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에 나오는 내용은 모두 다르다.
제 7.무득무설분은 석가여래께서 과위(果位)를 얻으신 것이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며, 제 13.여법수지분은 법도 없고 부처도 없으리라는 것에 대한 의문이고, 제 17.구경무아분의 후반은 선혜선인(善慧 仙人)이 연등부처님에게서 수기를 이룬 바가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며, 끝으로 제 22.무법가득분에서는 닦을 것도 있고 증득할 것도 있을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다.
② 선법(善法) :
선법이란 생활(수양)에 있어서 자기를 이롭게 하는 법을 말하는 것으로, 악법(惡法)과 반대되는 것이다. 선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불교에서 기본이 되는 것으로 우선 말하는 것으로 오계(五戒)와 십선(十善)이 있다.
오계(五戒)로는
① 중생을 죽이지 말라, ② 남의 물건을 함부로 훔치지 말라, ③ 음란한 짓을 하지 말라, ④ 거짓말을 하지 말라, ⑤ 술을 마시지 말라 등 다섯이며,
십선(十善)으로는
① 살생하지 말 것, ② 도둑질하지 말 것, ③ 사음하지 말 것, ④ 함부로 망녕된 말을 하지 말 것, ⑤ 두 혀로 말(이간질 하는 말)을 하지 말 것, ⑥ 욕하지 말 것, ⑦ 꾸민('외곡 · 포장'한) 말을 하지 말 것, ⑧ 탐욕을 부리지 말 것, ⑨ 성내지 말 것, ⑩ 사견(邪見)을 내지 말 것 등이다.
이상과 같은 선법들은, 모두 '착한 생활 · 착한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고, 또한 그날 그날을 반성하여 일상생활에 실천한다면, 수행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이며, 이 모두는 따로 해야하는 것이 아닌, 둘이 아닌, 별개의 것이 아닌 것이다.
더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로 향하여 가는 '삼학 · 육도 · 육바라밀' 수행지침이 있다. 삼학(三學)이란 도를 닦아서 깨달아야 할 세 가지 '계학(戒學) · 정학(正學) · 혜학(慧學)'을 말하는 것으로, 계학과 정학을 거쳐서 비로소 혜학에 이르고, 혜학에서 미계(迷界)의 번뇌를 없이 할 수가 있다는 불가의 가르침이다. ☞삼학(三學)
한편 육도(六道)의 내용과, 행함(行)을 강조한 육바라밀(六波羅蜜)의 행(行), '보시 · 지계 · 인욕 · 정진 · 정진 · 선정' 등은, 부처님의 수행가르침(지침서)인 것이다.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 :
우리들의 '눈(眼)·귀(耳)·코(鼻)·혀(舌)·몸(體)·뜻(意)'을 6근(六根)이라 하는데, '색(모양) · 성(소리) · 향(냄새) · 미(맛) · 촉(느낌) · 법(계법')의 (육경에 의한)6요소는 육근을 통하여 몸속으로 들어가 우리들의 본성인 청정하고 깨끗한 마음을 더럽히고 진성(眞性)을 덮어 흐리게 하는 6개의 요소라 하여 육진(六塵)이라고도 한다.
***육진(六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색(色;R pa) : 일정한 모양과 색채가 있는 시각적, 직감적인 일체의 물질 을 말한다. '부주색'(不住色)이란 이런 색에 구애받지 않는, 즉 머무름이 없는 것이란 뜻이다.
2. 성(聲) : 귀로 듣는 청각적인 대상, 즉 소리를 말한다.
3. 향(香;Ganda) : 건타(乾陀)라고 음역하기도 하는데, 코로 맡아서 후각적으 로 느껴 분별하는 냄새를 말한다. 냄새는 호향(好香), 등향(等香), 오향 (惡香), 부등향(不等香) 등 4종으로 나눈다.
4. 미(味) : 혀로 느끼는 미각적인 미욕(味慾)을 말한다. 즉 맛있는 음식을 많 이 먹고 싶어하는 욕심이다. 또 맛이라는 것은 심식(心識)을 물들게 하여 번뇌를 일으키기도 한다.
5. 촉(觸;Spra tavya) : 촉각의 대상, 감촉되는 것을 말한다. 즉 닿아서 느껴 아는 것이다. 굳은 것(堅), 축축한 것(濕), 더운 것(煖), 흔들거리는 것 (動), 매끄러운 것(滑), 껄끄러운 것(澁), 무거운 것(重), 가벼운 것(輕), 차가운 것(冷), 배고픈 것(肌), 목마른 것(渴)의 11종으로 나눈다.
6. 법(法;Darhma) : 달마(達磨)라 음역하기도 한다. 궤범(軌範)을 주로 하여 규칙을 법이라 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불법 · 정법 · 교법'이라 하고, 부처님이 제정한 계율을 계법(戒法)이라 하고, 그 규정에 따라서 수행하는 의식을 수법(修法)이라 한다.
쉽게 말해 규칙을 법이라 하는데, 여기에서는 곱다, 밉다, 옳다, 그르다 하는 따위의 마음의 대상이 되는 정신작용을 가리키는 것이다.
*** 삼학 (三學) : 사성제(四聖諦)의 가르침 중, 도성제(道聖諦)에 대한 가르침 내용으로,
열반(깨달음의 경계)에 이르는 수행방법으로 [계(戒)·정(定)·혜(慧)]의 세 가지의 공부를
말하는 것으로, 이 세 가지를 이름하여 삼학(三學)이라고도 한다.
즉 망녕된 생각이 쉴새 없이 흘러나오는 습성을, 그러지 못하도록 하는-(잠재우는 · 쉬게하는)- '3가지의 공부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세 가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고, 서로 통하고 서로 이어져 있는 불가분의 관계인 것이다.
_ ① 계학 (戒學) : 계율 _윤리적인 수행.
계율과 윤리적인 규범을 바르게 지켜, 올바른 생활을 하는 것, 이것이 또한 공부의 내용이라는 것으로, 계(戒)의 생활화를 말씀하신 것이다. 그래서 석존이 없는 지금, 모든 발심자(佛者)는 수계를 받는 것이며, 재가불자들도 불교에 입문하면 수계의식을 받고 계를 수지하겠음을 약속(다짐)하는 것이다.
이는 계율을 지키며 생활하겠다 -계를 생활화하는 삶을 지어 가겠다는 것으로, - 즉 나쁜 행(행위·삶의 방식)으로 인한 삼업(三惡業)을 짖지 않고 선업(三善業)을 지어가는 생활을 하겠음을,
자신의 마음속 깊이 다짐하고 새기는 것이다. 원효스님은, 이러한 계행(戒行)의 중요함을
"棄世間喧乘空天上 戒爲善梯(기세간훤승공천상 계위선제)
떠들썩한 세간을 버리고 천상으로 오르려는 데는 계행(戒行)이 훌륭한 사다리이다.
是故破戒 爲他福田 如折翼鳥 負龜翔空(시고파계 위타복전 여절익조 부구상공)
그러므로 계행을 깨뜨린 이가 남을 위하는 복밭(福田)이 되려는 것은 마치 날개 부러진 새가
거북을 업고 하늘로 떠 오르려는 것과 같으니
自罪未脫 他罪不贖 然 豈無戒行 受他供給(자죄미탈 타죄불속 연 기무계행 수타공급)
자신의 죄업을 벗지 못한 이는 다른 사람의 죄업을 깨끗이 닦아 (속죄나 가르침) 줄 수가 없다.
그러니 계행이 없는 이가 어찌, 다른 사람의 공양을 받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셨다.
또한 범망경(梵網經), '십중계'에서는,
"若受菩薩戒 不誦此戒者 非菩薩 非不種子 ⇔ 보살계를 받고 이 계를 외우지않는
사람은 보살이 아니며 불종자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며
"我亦如是誦 一切菩薩 已學 一切菩薩 當學 一切菩薩 當學 一切菩薩 今學 ⇔ 나 또한 이와같이
외우나니 일체보살이 이미 배웠고 마땅히 배울 것이며 일체 보살이 지금 배우고 있느니라."
는 내용이 부처님 말씀으로 담겨져 있습니다.
수지함을 잊지 말라는 것으로 계의 중요함과 위치(의미)를 말씀하신 것입니다.
또한 계를 행하지 않는 이는, 저언덕(피안의 세계)에 도달할 수 없다는 내용(사실)인 것이다.
한발 한발 딛고 오르는 사다리(또는 계단, 길)을 통하지 않고 어떻게 위쪽으로 오르겠는가 · · · 어떻게 다른 방법으로, (바른, 도구와 노력을 통하지 않고 위쪽에) 바르게 올랐다고 할 수 있겠는가 ? - 날라서? - 아니면 '수리수리 야~합' 해서? ···
신문이나 뉴스에 매일 어수선한 이야기들은 모두 윤리 · 도덕적인 것을 무시하는 우리들 자신들의 이야기이며, 부처님의 가르침은 우리들이 좀더 인간답게(바르게) 사는 길,
해탈(안온한 삶)의 방법(가르침)인 것이다. 삶이나 행의, 바탕이 되는(되어야 한다는) 가르침인, 계행(戒行)의 중요함을 말씀하는 것입니다.
② 정학 (定學) : 선정_정신적인 수행.
팔정도(八正道)의 '정정(正定)'과 같은 내용으로, 바른 선정(禪定)에 들도록 하라는 것이다.
즉 바르게 명상(瞑想)하고, 바르게 사유(思惟)하라는 것이다. 바른 정신을 가져야, 어리석음에 빠지지 않고, 치우침이 없이 바르게 보고, 바르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번뇌 · 망상'을 여윈 바른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정신/마음'을 닦아 나아가는 수행(禪定)을 게을리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離心中愛 是名沙門 不戀世俗 是名出家 (이심중애 시명사문 불연세속 시명출가)
마음 안에 애욕심이 없는(떨쳐버린) 이를 이름하여 '사문'이라 하고 세속(탐진치)을 연연하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출가'라 한다."
'탐·진·치' 삼독(三毒)의 집착에서 벗어나, 바르게 보고 바르게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절에서 108배, 1,000배 등의 절을 하는 것도 하심의 공부라 합니다.
보시를 하고 이타의 행(봉사 · 이웃에 도움을 주는 행동 등등)을 하는 것 모두, 집착을 버리고 마음('탐진치'심)을 비우는 공부라 ' 복덕이 있다'하는 것입니다.
이는 인생고락의 원인을 설명해 주신 12연기 중에, 참고로 잠시 설명한 [③식 · ④명색 · ⑤육처 · ⑥촉 · ⑦수 · ⑧애]를 맑게(청정케) 하는 수행일 것입니다.
③ 혜학 (慧學) : 지혜_바른 지혜를 닦는 수행.
일체의 '번뇌 · 망상'을 여윈, 바른 지혜를 얻기 위해, 열심히 닦으라는 것입니다.
12연기에서 밝힌 윤회고의 원인인, 우리 중생의 무명(無明) · 무지(無智)를 밝히는 공부를 열심히 하여 갈고 닦으라는 것이다.
"有智人所行 蒸米作飯 無智人所行 蒸沙作飯 (유지인소행 증미작반 무지인소행 증사작반)
지혜있는 사람의 수행은 쌀로 밥을 하는것이며 지혜가 없는 사람의 수행은
모래로 밥을 하는것과 같다." -<發心修行章>
깨달음을 이루기 위한 공부를 게을리하지 말고, 무명(無明)을 밝히는 공부를 열심히 하여, 무지(無明)에서 출발하는 잘못됨의 고리를 끊으라는 것입니다. 우리들이 경전을 읽고, 눈 밝은 스님의 법문도 듣고 하는 것은 바른 지혜를 얻기 위한 '밝힘의 공부'에 하나 입니다.
불자가 수계를 받고, 수지하게 되는 보살계첩의 사십팔경구계(四十八輕垢戒)의 내용에는 "(제七) 설법하는 곳이 있거든, 어디든지 부지런히 가서 법을 들으라."는 내용의 문구가 있습니다. 또한 '지혜는 지식을 말함이 아니다'라고 되풀이 말합니다.
다시 예를 들어 말 하자면 우리가 구하는 것(대상 · 내용)이 _['팔만사천경'의 글귀나, 경(經)이 담긴 CD나 티스켓, 또는 책 속에 들어 있는 내용의 줄거리가 무엇인지, 낱말(문구·문장)의 뜻이 무엇인지?] 하는, 그러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생각 · 생각 열심히 참구하여 '지식이 아닌 지혜'를 가까이 하라는 것입니다.
무명(無明: 무지)을 밝히는 공부를 열심히 하여, 육도윤회에서 벗어나 해탈을 구하라고, 석가모니부처님께서는 열반에 드시면서도
"모든 생하는 것은 반드시 멸하는 법이다. 그러니 부지런히 힘써 해탈을 구하라."라는 유훈을 남기셨습니다.
구함을 게을리 하지말고 열심히 하여, - 힘써 '해탈'을 구하여 - '벗어나 있는' 삶을 살라고 한 것입니다.
이들 삼학은 별개의 공부가 아닌, 서로 이어져 보완 · 증장하는 것으로, 이 삼학의 내용을 닦음으로서 성불(깨달음의 길)에 이를 수 있다는 것으로
-①계학(戒學)으로 청정함을 바탕으로 하여, 그 위에 ②정학(定學)으로 마음을 맑게하여 마음자리를 밝히며(유지하며), ③무명(無明)을 밝혀 해탈의 삶을 지어가는 혜학(慧學)을 닦아나가는 -
세 가지의 방법(三學)을 게을리 하지 말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내용은
사찰의 경우 '선원(禪院) · 강원(講院) · 율원(律院)'의 시설을 모두 갖춘 사찰을 '종합 수도원' 총림(叢林)이라 따로 이름하는 것입니다.
어느 한쪽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이 세가지가 함께 이루어져야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재가불자에게는 가까운 사찰이, 이러한 삼학의 공부에 유용한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들을, 다니는 원찰이나 가까운 사찰에서 차분한 몸과 마음으로 삼보의 원력을 접하는 것이요, 부족한 신심을 재 다짐하는 장소로.., 개인적으로 힘든 부분의 재 충전하거나, 또는 도움이 되는 '법구'라 할 수 있습니다.
누구를 찾아 가거나, 누구한테 받아오는 것이 아니라, - 스스로 찾아서 가져오는, 담아오는(충전해오는) 것이 되겠지요. '무형의 대상에 대한 의지'를 말함입니다.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슈라바스티 제타숲 외로운이 돕는 장자 동산에 계시면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세 가지 공부가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이른 바 '쉬임없는 계율의 공부'와 '쉬임 없는 뜻의 공부'와 '쉬임 없는 지혜의 공부'이다.
어떤 것이 쉬임없는 계율의 공부인가. 만일 비구가 계율의 프라티목샤에 머물러 위엄있는 태도와 행동을 완전히 갖추어 조그만 죄를 보고도 두려움을 내어 계율의 공부를 받아 가지면, 이것을 쉬임 없는 계율의 공부라 한다.
어떤 것이 쉬임없는 뜻의 공부인가. 만일 비구가 모든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법을 떠나 거친 생각과 미세한 생각은 있지만, 욕계의 악을 떠남에서 기쁨과 즐거움이 생겨 첫째 선정(初禪)을 완전히 갖추어 머므르고 나아가서는 넷째 선정(四禪)을 완전히 갖추어 머무르면, 이것을 쉬임없는 뜻의 공부라 한다.
어떤 것이 쉬임없는 지혜의 공부인가. 만일 비구가 '이것은 괴로움의 거룩한 진리'라고 참되게 알고, '이것은 괴로움의 원인, 이것은 괴로움의 없어짐, 이것은 괴로움을 없애는 길의 거룩한 진리'라고 참되게 알면, 이것을 쉬임없는 지혜의 공부라 한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여러 비구들은 그 말씀을 듣고 기뻐하고 받들어 행하였다.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_()_
'심금의 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 교화하되 교화하는 바가 없다 (0) | 2010.02.10 |
---|---|
금강경 24 ,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 복과 지혜는 비교할 수 없다 (0) | 2010.02.10 |
금강경 22 .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 불법은 얻을 수 없다 (0) | 2010.02.10 |
금강경 21 ,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 말도 말할 것도 없다 (0) | 2010.02.10 |
금강경 20 , 이색이상분(離色離相分) : 사물도 떠나고 형상도 떠나다 (0) | 201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