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단경7. 定慧 - 정과 혜
7. 定慧 - 정과 혜
"혜능이 이곳에 와서 머무른 것은 모든 관료·도교인·속인들과 더불어 오랜 전생부터 많은 인연이 있어서이다.
가르침은 옛 성인이 전하신 바요 혜능 스스로 안 것이 아니니, 옛 성인의 가르침 듣기를 원하는 이는 각각 모름지기 마음을 깨끗이(淨心) 하여, 듣고 나서 스스로 미혹함을 없애서 옛 사람들의 깨침과 같기를 바랄지니라."
혜능대사가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보리반야(菩提般若)의 지혜는 세상 사람들이 본래부터 스스로 지니고 있는 것이다. 다만 마음이 미혹하기 때문에 능히 스스로 깨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큰 선지식의 지도를 구하여 자기의 성품을 보아라.
선지식들아, 깨치게 되면 곧 지혜를 이루느니라.
선지식들아, 나의 이 법문은 정(定)과 혜(慧)로써 근본을 삼나니, 첫째로 미혹하여 혜와 정이 다르다고 말하지 말라. 정과 혜는 몸이 하나여서 둘이 아니니라. 곧 정은 이 혜의 몸이요 혜는 곧 정의 씀이니(卽定是惠體 卽惠是定用), 곧 혜가 작용할 때 정이 혜에 있고 곧 정이 작용할 때 혜가 정에 있느니라.
선지식들아, 이 뜻은 곧 정·혜를 함께 함이니라(定惠等). 도를 배우는 사람은 짐짓 정을 먼저 하여 혜를 낸다거나 혜를 먼저 하여 정을 낸다고 해서 정과 혜가 각각 다르다고 말하지 말라. 이런 소견을 내는 이는 법(法)에 두 모양(相)이 있는 것이다. 입으로는 착함을 말하면서 마음이 착하지 않으면 혜와 정을 함께 함이 아니요, 마음과 입이 함께 착하여 안팎이 한가지면 정·혜가 곧 함께 함이니라.
스스로 깨쳐 수행함은 입으로 다투는 데 있지 않다. 만약 앞뒤를 다투면 이는 곧 미혹한 사람으로서 이기고 지는 것을 끊지 못함이니, 도리어 법의 아집이 생겨 네 모양(四相)을 버리지 못함이니라.
일행삼매(一行三昧)란 일상시에 가거나 머물거나 앉거나 눕거나(行住坐臥) 항상 곧은 마음(直心)을 행하는 것이다.
<정명경(淨名經)- 유마경>에 말씀하기를 '곧은 마음이 도량이요 곧은 마음이 정토다(直心是道場直心是淨土)'라고 하였느니라.
마음에 아첨하고 굽은 생각을 가지고 입으로만 법의 곧음을 말하지 말라. 입으로는 일행삼매를 말하면서 곧은 마음으로 행동하지 않으면 부처님 제가가 아니니라. 오직 곧은 마음으로 행동하여 모든 법에 집착하지 않는 것을 일행삼매라고 한다. 그러나 미혹한 사람은 법(法)의 모양에 집착하고 일행삼매에 국집하여 앉아서 움직이지 않는 것(坐不動)이 곧은 마음이라고 하며, 망심(妄心)을 제거하여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일행삼매라고 한다. 만약 이와 같다면 이 법은 무정(無情)과 같은 것이므로 도리어 도를 장애하는 인연이니라.
도(道)는 모름지기 통하여 흘러야 하는 것인데 어찌 도리어 정체할 것인가? 마음이 머물러 있지 않으면 곧 통하여 흐르는 것이요, 머물러 있으면 곧 속박된 것이니라.
만약 앉아서 움직이지 않음이 옳다고 한다면 유마힐이 숲 속에 편안히 앉아 있는 사리불을 꾸짖었던 것은 합당하지 않으니라.
선지식들아, 또한 어떤 사람이 사람들에게 '앉거나 마음을 보고 깨끗함을 보되, 움직이지도 말고 일어나지도 말라'고 가르치고 이것으로써 공부를 삼게 하는 것을 본다. 미혹한 사람은 이것을 깨닫지 못하고 문득 거기에 집착하여 전도됨이 곧 수백 가지이니, 이렇게 도를 가르치는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임을 짐짓 알아야 한다."
"선지식들아, 정과 혜는 무엇과 같은가? 등불과 그 빛과 같으니라. 등불이 있으면 곧 빛이 있고 등불이 없으면 곧 빛이 없으므로 등불은 빛의 몸(體)이요 빛은 등불의 작용(用)이다. 이름은 비록 둘이지만 몸은 둘이 아니다. 이 정·혜의 법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
김윤수
1. <수능엄경>권 제6에서는, "마음을 껴잡는 것이 계요, 계로 인하여 선정이 생기고, 선정으로 인하여 지혜가 핀다(攝心爲戒 人戒生定 因定發惠)라고 하고 있다. 지계없이 선정이 이루어질 수 없고, 선정없이 참다운 지혜가 증득될 수 없다는 것이다.
2. 둘이 아니다(不二). 주관과 객관의 대립, 모든 상대적인 차별을 떠나야 한다는 취지이다. 이를 흔히 불이법문(不二法門)이라고 표현하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유마경> 제9 입불이법문품에서 유마힐이 여러 보살에게, 어떤 것이 불이법문에 들어감인지 말하여 보라고 하자, 여러 보살들이 생과 멸, 나(我)와 나의 것(我所)등 각자 한 가지씩 모두 31가지를 들어 설명한 후, 이어서 문수보살이 유마힐에게 설법을 요청함에 유마힐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묵묵히 있으니, 문수보살이 찬탄하여 "훌륭하십니다. 문자언어가 없음이 참으로 불이법문에 들어감입니다.(無有文字言語 是眞入不二法門)"라고 말한다.
3. 체용(體用)
본체(바탕)와 작용이라는 뜻이다. 여기에 형상을 의마하는 상(相)을 덧붙여 체. 상. 용의 셋으로 대비하여 설명하는 예도 많다.
금비녀의 체(體)는 금이고, 길게 주조되어 지금 보이고 있는 모양이 상(相)이며, 그것으로 묶은 머리가 흘러내리지 않게 가로질러 지탱시키는 쓰임이 용(用)이 된다. 그런 금비녀의 외부적인 현상인 상과 용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지만 금의라는 본체는 바뀌지 않는다는 것으로 삼자의 관계가 설명되기도 한다.
4. 일상삼매(一相三昧)
<문수설반야경>에는, "법계는 한 모양이니, 이 법계와 이어 맺는 것을 일행삼매라 한다."라고 하였고, <대승기신론>에서는 만약 지(止)를 닦아 진여삼매에 들면 "법계가 한 모양임을 알게 된다. 이는 일체 제불의 법신이 중생신과 더불어 평등하여 둘이 아님을 이르는 것이니 곧 일행삼매라 한다"라고 하고 있다.
5. 참된 깨달음은 정. 혜가 함께 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를 흔히 적조동시(寂照同時- 고요함과 비춤이 함께 함), 차조동시(遮照同時- 막음과 비춤이 함께 함), 적적성성(寂寂惺惺), 진공묘유(眞空妙有) 등으로 표현하는데, 앉아서 움직임이 없음이나, 허망함을 제거하고 마음을 일으키지 않는 것은, 적. 서. 적적. 진공에 치우쳐서 깨달음을 장애하므로 잘못된 선법이라는 것이다.
*무기: 원래 선(善), 악(惡), 무기(無記)의 삼성(三性)중 하나로, 선. 악 어느 쪽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을 의미함. 여기서는 선. 악을 구별하는 지혜가 완전히 결여된 무력한 상태를 가리키는 의미
6. <유마경> 제2 제자품에서 유마힐을 문병하라는 부처님의 말씀을 들은 사리불이 문병을 감당할 수 없다면서 그 이유를 설명하기를, 사리불이 과거 숲 속의 나무 아래서 조용히 좌선할 때 유마힐이 와서 보고 아래와 같이 말했다고 하고 있다.
"사리불이여, 이렇게 앉는 것만이 좌선이 아닙니다. 무릇 좌선이라 함은 삼계(三界)에서 일어나지 않고 온갖 위의를 나타내는 것이 좌선이며, 도법(道法)을 버리지 않고 범부의 일을 나타내는 것이 좌선이요, 마음이 안에 머물지 않고 밖에도 머물지 않는 것이 좌선이며, 온갖 견해에 움직이지 않고 37조도품을 수행하는 것이 좌선이요, 번뇌를 끊지 않고 열반에 드는 것이 좌선이니, 만약 이와 같이 좌선하는 사람이라면 부처님이 인가합니다. 세존이시여, 그때 저는 이 말을 듣고 잠자코 대답을 할 수 없었습니다."
'선사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조단경9. 坐禪 - 좌선 (0) | 2010.09.09 |
---|---|
육조단경8. 無念 - 생각이 없음 (0) | 2010.09.09 |
육조단경6. 受法 - 법을 받음 (0) | 2010.09.09 |
육조단경5. 呈偈 - 게송을 바침 (0) | 2010.09.09 |
육조단경4. 神秀 - 신수스님 (0) | 201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