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등불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4장 여덟 시구(詩句) 이야기 1

맑은 샘물 2012. 10. 10. 02:28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4장 여덟 시구(詩句) 이야기 1

 

 

 

숫타니파타

(Sutta-nipata)

제4장 여덟 시구(詩句) 이야기

IV. ATTHAKAVAGGA.

4-1. 속된 즐거움(慾望)

KAMA SUTTA

Sensual pleasures are to be avoided.

(766)
속된 즐거움을 이루고자 하는 사람이
생각대로 잘되면 그는 인간이 갖고자 하는 것을
얻고 마음에 기뻐한다.

If he who desires sensual pleasures is successful, he certainly becomes glad-minded, having obtained what a mortal wishes for.

(767)
욕망을 이루고자 탐욕이 생긴 사람이
만일 속된 즐거움을 이루지 못하게 되면
그는 화살에 맞은 사람처럼 고민한다.

But if those sensual pleasures fail the person who desires and wishes (for them), he will suffer, pierced by the arrow (of pain).

(768)
발로 뱀의 머리를 밟지 않으려고 조심하는 것처럼,
모든 속된 즐거움을 피하는 사람은
신념(信念)이 있고, 이 세상에서 집착을 잘 넘어선다.

He who avoids sensual pleasures as (he would avoid treading upon) the head of a snake with his foot, such a one , being thoughtful (sato), will conquer this desire.

(769)
논밭, 집터, 황금, 소와 말(牛馬), 하인, 고용인,
부녀, 친척, 그밖에 여러 가지를 탐내는 사람이 있다면,

He who covets extensively (such) pleasures (as these), fields, goods, or gold, cows and horses, servants, women, relations,

(770)
힘도 없는 것(온갖 번뇌)이 그를 이기고
위험과 재난이 그를 짓밟는다. 그러므로 괴로움이 그를 따른다.
마치 파손된 배에 물이 새어들 듯,

Sins will overpower him, dangers will crush him, and pain will follow him as water (pours into) a broken ship.

(771)
그래서 사람은 항상 바른 신념(信念)을 가지고,
모든 속된 즐거움을 회피해야 한다.
배에 스며든 물을 퍼내듯이,
그와 같은 속된 즐거움을 버리고
강을 건너 피안에 도달한 사람이 되라.

Therefore let one  always be thoughtful, and avoid pleasures; having abandoned them, let him cross the stream, after baling out the ship, and go to the other shore.

- Kamasutta is ended.

4-2. 동굴(洞窟)

GUHATTHAKASUTTA.

Let no one  cling to existence and sensual pleasures.

(772)
동굴(身體)속에 머물러 집착하고, 온갖 것(번뇌)에 덮이어
어리석음(迷妄) 속에 빠져 있는 사람,
이러한 사람은 집착에서 벗어날 수 없다.
참으로 이 세상 속된 즐거움을 버리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A man that lives adhering to the cave (i.e. the body), who is covered with much (sin), and sunk into delusion, such a one  is far from seclusion, for the sensual pleasures in the world are not easy to abandon.

(773)
욕구의 인연에 따라 생존의 쾌락에 붙잡힌 사람들은
해탈하기 어렵다. 해탈은 내가 하는 것이지
남이 해탈을 시켜 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미래와 과거를 생각하면서 이러한 현재의
속된 즐거움 또는 과거의 속된 즐거움에 탐착한다.

Those whose wishes are their motives, those who are linked to the pleasures of the world, they are difficult to liberate, for they cannot be liberated by others, looking for what is after or what is before, coveting these and former sensual pleasures.

(774)
그들은 속된 즐거움을 탐하고 구하고 거기에 빠지고,
인색하고 부정(不正)에 붙어있지만,
죽을 때에는 괴로움에 짓눌려 슬퍼한다.
"여기서 죽은 다음에는 우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라고.

Those who are greedy of, given to, and infatuated by sensual pleasures, those who are niggardly, they, having entered upon what is wicked, wail when they are subjected to pain, saying: 'What will become of us, when we die away from here?'

(775)
그러므로 사람들은 여기 이 가르침에서 배워야 한다.
세상에서 부정이라고 알려진 그 어떤 일이라도
그것을 위하여 부정을 행하면 안된다.
사람의 목숨은 짧은 것이라고 현자(賢者)는 말했기 때문이다.

Therefore let a man here[1] learn, whatever he knows as wicked in the world, let him not for the sake of that (?) practise (what is) wicked[2]; for short is this life, say the wise.

(776)
여러 가지 생존에 대한 갈증과 애착(渴愛)에 붙들려
이 세상 사람들이 떨고 있는 것을 나는 본다.
못난 사람들은 여러 가지 생존에 대한 애착을 떠나지 못한 채
죽음에 직면하여 운다.

I see in the world this trembling race given to desire for existences; they are wretched men who lament in the mouth of death, not being free from the desire for reiterated existences.

(777)
무엇인가를 내 것이라고 집착해
동요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라.
그들의 모습은 메말라 물이 적은 개울에서
허덕이는 물고기와 같다.
이 꼴을 보고 '내것'이라는 생각이 없이 행해야 한다.
여러 가지 생존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Look upon those men trembling in selfishness, like fish in a stream nearly dried up, with little water; seeing this, let one  wander about unselfish, without forming any attachment to existences.

*1. Idheva = imasmim yeva sasane. Commentator.

*2. Na tassa hetu visamam kareyya.

(778)
현자는 양극단에 대한 욕망을 억제하고,
감관과 대상의 접촉을 잘 알아서 탐하지 않는다.
자기 자신조차 비난할 나쁜 짓을 하지 않고,
보고 듣는 일에 물들지 않는다.

Having subdued his wish for both ends[1], having fully understood touch without being greedy, not doing what he has himself blamed, the wise (man) does not cling to what is seen and heard[2].

(779)
생각(相)을 가다듬고 흐름을 건너라.
성인은 소유하고자 하는 집착에 물들지 않으며,
번뇌의 화살을 빼고 께으르지 않고 정진하여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바라지 않는다.

Having understood name[3], let the Muni cross over the stream, not defiled by any grasping; having pulled out the arrow (of passion), wandering about strenuous, he does not wish for this world or the other.

*1. Comp. Sallasutta, v. 9.

*2. Ubhosu antesu vineyya khandam
Phassam parinnaya ananugiddho
Yad atta garahi tad akubbamano
Na lippati ditthasutesu dhiro.

*3. Sannam = namarupam. Commentator.

- Guhatthakasutta is ended.

4-3. 분노(憤怒)

DUTTHATTHAKASUTTA.

The Muni undergoes no censure, for he has shaken off all systems of philosophy, and is therefore independent.

(780)
마음으로부터 화를 내고 남을 비방하는 사람이 있다.
또한 마음이 진실한 사람이라도 남을 비방하는 일이 있다.
비방하는 말을 들을지라도 성인은 그것에 동하지 않는다.
성인은 무슨 일에나 마음이 거칠어지지 않는다.

Verily, some wicked-minded people censure, and also just-minded people censure, but the Muni does not undergo the censure that has arisen; therefore there is not a discontented (khila) Muni anywhere.

(781)
욕심에 끌리고 소망에 붙들린 사람이
어떻게 자기의 견해를 초월할 수 있을까.
그는 자신이 완전하다고 생각한 바를 그대로 행한다.
그는 또한 아는 대로 떠들어댈 것이다.

How can he who is led by his wishes and possessed by his inclinations overcome his own (false) view? Doing his own doings let him talk according to his understanding[4].

*4. Sakam hi ditthim katham akkayeyya
Khandanunito rukiya nivittho,
Sayam samattani pakubbamano
Yatha hi ganeyya tatha vadeyya.

(782)
누가 묻지도 않는데
남에게 자기의 계율과 도덕을 선전하는 사람,
스스로 자기 일을 떠들고 다니는 사람은,
거룩한 진리(法)를 갖지 못한 사람이라고,
여러 선인(善人)들은 말한다.

The person who, without being asked, praises his own virtue and (holy) works to others, him the good call ignoble, one  who praises himself[1].

*1. Yo atumanam sayam eva pava = yo evam attanam sayam eva vadati. Commentator.

(783)
고요하고 마음이 안정해진 수행승이 계율에 대해서,
'나는 이렇게 하고 있노라' 하면서 뽐내지 않고,
이 세상 어디에 있더라도 번뇌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는 거룩한 진리(法)를 지니고 있는 사람이라고,
여러 선인(善人)들은 말한다.

But the Bhikkhu who is calm and of a happy mind, thus not praising himself for his virtues, him the good call noble, one  for whom there are no desires anywhere in the world[2].

*2. Yass' ussada n' atthi kuhinki loke.


(784)
깨끗하지 못한 교법을 미리 마련하고
그것을 모아서 꾸미며,
그것들만을 존중하여 모시면서
자기 안에서만 훌륭한 열매를 보는 사람은
'흔들이는 고요'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He whose Dhammas are (arbitrarily) formed and fabricated, placed in front, and confused, because he sees in himself a good result, is therefore given to (the view which is called) kuppa-patikka-santi[3].

*3. Pakappita samkhata yassa dhamma
Purakkhata santi avivadata
Yad attani passati anisamsam
Tam nissito kuppapatikkasantim.

(785)
모든 사물에 대한 고집을 확실히 알고
자기 견해에 대한 집착을 초월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때문에 사람들은 그런 비좁은 견해의 울타리 안에 갇혀
법을 등지기도 하고 또 집착도 한다.

For the dogmas of philosophy are not easy to overcome, amongst the Dhammas (now this and now that) is adopted after consideration; therefore a man rejects and adopts (now this and now that) Dhamma amongst the dogmas[4].

*4. Ditthinivesa na hi svativatta,
Dhammesu nikkheyya samuggahitam,
Tasma naro tesu nivesanesu
Nirassati adiyati-kka dhammam.
Comp.
Paramatthakasutta, v. 6.

(786)
사악(邪惡)을 쓸어 없애버린 사람은,
이 세상 어디를 가든 모든 생존에 대해
미리 가지고 있는 편견이 없다.
사악을 물리친 사람은 허위와 교만을 버렸거늘,
어찌 윤회에 떨어질 것인가.
그에게는 이미 의지하고 가까이할 것이 아무것도 없다.

For him who has shaken off (sin) there is nowhere in the world any prejudiced view of the different existences; he who has shaken off (sin), after leaving deceit and arrogance behind, which (way) should he go, he (is) independent[6].

*5. Dhonassa hi n' atthi kuhinki loke
Pakappita ditthi bhavabhavesu,
Mayan ka manan ka pahaya dhono
Sa kena gakkheyya, anupayo so.

(787)
모든 법에 기대고 의지하는 사람은 비난을 받는다.
그러나 기대고 의지함이 없는 사람을
어떻게 비난할 수 있겠는가.
그는 집착하지도 않고 버리지도 않는다.
그는 이 세상에서 모든 편견을 쓸어 없애버린다.

But he who is dependent undergoes censure amongst the Dhammas; with what (name) and how should one  name him who is independent? For by him there is nothing grasped or rejected, he has in this world shaken off every (philosophical) view[1].

*1. Upayo[*] hi dhammesu upeti vadam
Anupayam kena katham vadeyya
Attam nirattam na hi tassa atthi
Adhosi so ditthim idh' eva sabbam.

- Dutthatthakasutta is ended.


4-4. 청정(淸淨)

SUDDHATTHAKASUTTA.

No one  is purified by philosophy, those devoted to philosophy run from one  teacher to another, but the wise are not led by passion, and do not embrace anything in the world as the highest.

(788)
"가장 으뜸가고 병(病)이 없는 깨끗함을 나는 본다.
사람이 아주 깨끗해지는 것은 견해에 달려 있다."
이와 같이 생각하는 것을 가장 으뜸으로 알고
깨끗함을 관찰(觀)하는 사람은,
그런 견해(見解)를 가장 높은 경지에 도달해서 얻는
지혜로 생각한다.

I see a pure, most excellent, sound man, by his views a man's purification takes place, holding this opinion, and having seen this view to be the highest he goes back to knowledge, thinking to see what is pure[2].

*2. Passami suddham paramam arogam,
Ditthena samsuddhi narassa hoti,
Et' abhiganam paraman ti natva.
Suddhanupassiti pakketi nanam.

(789)
만일 사람이 견해로 인해서 깨끗해질 수 있는 것이라면,
또 사람이 지혜에 의해 괴로움을 버릴 수 있는 것이라면,
번뇌에 얽매인 사람이 바른 길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도 깨끗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말하는 사람을 '나쁜 견해가 있는 사람(邊見)'이라 부른다.

If a man's purification takes place by (his philosophical) views, or he by knowledge leaves pain behind, then he is purified by another (way than the ariyamagga, i.e. the noble way), together with his upadhis, on account of his views he tells him to say so[3].

*3. Ditthihi nam pava tatha vadanam.
Comp.
Garasutta, v. l0; Pasurasutta, v. 7.

*. Upayo ti tanhaditthinissito. Commentator.

(790)
참 바라문은 바른 길 말고는
다른 어떤 견해도,
전해들은 학문, 계율, 도덕, 사색도 깨끗하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그는 재앙과 복에 물들지 않고 자아(自我)를 버려,
이 세상에서 재앙과 복의 원인을 만들지 않는다.

But the Brahmana who does not cling to what has been seen, or heard, to virtue and (holy) works, or to what has been thought, to what is good and to what is evil, and who leaves behind what has been grasped, without doing anything in this world, he does not acknowledge that purification cornes from another[1].

*1.Na brahmano annato suddhim aha
Ditthe sute silavate mute va
punne ka pape ka anupalitto
Attangaho na idha pakubbamano.

(791)
옛 스승을 버리고 다른 스승 등을 의지하며,
번뇌의 동요를 따르고 있는 사람들은 집착을 뛰어 넘을 수 없다.
그들은 잡았다가는 또 버린다.
원숭이가 나뭇가지를 잡았다가 다시 놓아 버리듯이.

Having left (their) former (teacher) they go to another, following their desires they do not break asunder their ties; they grasp, they let go like a monkey letting go the branch (just) after having caught (hold of it).

(792)
자신이 속한 파벌의 신조만을 잘 지키는 사람은
상(相)에 붙들려서 이것저것(여러 가지 잡다한 일)을 하려고 한다.
그러나 지혜로운 사람은 베에다에 의해 알고 법을 이해하고,
이것저것 여러 가지 잡다한 일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Having himself undertaken some (holy) works he goes to various (things) led by his senses, but a man of great understanding, a wise man who by his wisdom has understood the Dhamma, does not go to various (occupations).

(793)
그는 모든 법에 대해서
보고 배우고 생각한 것을 제어하고 지배한다.
이렇게 관찰하고 덮인 것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어찌 이 세상에서 망상(妄想) 분별할 수 있겠는가.

He being secluded amongst all the Dhammas, whatever has been seen, heard, or thought--how should any one  in this world be able to alter him, the seeing one , who wanders openly[2]?

*2. Sa sabbadhammesu visenibhuto[*]
Yam kinki dittham va sutam mutam va
Tam eva dassim vivatam karantam
Ken' idha lokasmim vikappayeyya?

*. Marasenam vinasetva thitabhavena visenibhuto. Commentator.

(794)
그들은 망상 분별하지 않고,
어떤 것을 유달리 소중하게 여기지도 않으며,
'그런 어떤 것들이 궁극의 깨끗함이다'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결박되어 있는 집착을 버리고
어떠한 세상 사물에 대해서도 바라는 것이 없다.

They do not form (any view), they do not prefer (anything), they do not say, 'I am infinitely pure;' having cut the tied knot of attachment, they do not long for (anything) anywhere in the world.

(795)
바라문은 번뇌의 울타리를 초월해 있다.
그가 무엇을 보거나 알아서 집착하는 일은 없다.
그는 욕심을 부리지도 않고,
또 욕심에서 떠나려는 욕심을 내지도 않는다.
그는 "이 세상에서는 이것이 가장 으뜸이다"라고
부질없이 집착하지 않는다.

He is a Brahmana that has conquered (sin)[1]; by him there is nothing embraced after knowing and seeing it; he is not affected by any kind of passion; there is nothing grasped by him as the highest in this world.

*1. Katunnam kilesasimanam atitatta
Simatigo bahitapapatta ka brahmano.

- Suddhatthakasutta is ended.


4-5. 으뜸가는 것

PARAMATTHAKASUTTA.

One should not give one self to philosophical disputations; a Brahmana who does not adopt any system of philosophy, is unchangeable, has reached Nibbana.


(796)
세상에서 사람들이 제각기 훌륭하다고 보는
그저 그런 것들을 가장 '으뜸가는 것'이라 생각하고
여러 가지 견해에 붙들려 그 밖에 다른 것들은 다
'낮은 것들'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그는 여러 가지 논쟁을 넘어설 수가 없다.

What one  person, abiding by the (philosophical) views, saying, 'This is the most excellent,' considers the highest in the world, everything different from that he says is wretched, therefore he has not overcome dispute[2].

*2. Paraman ti ditthisu paribbasano
Yad uttarim kurute gantu loke
Hina ti anne tato sabbam aha,
Tasma vivadani avitivatto.
Properly, 'others (are) wretched.'

(797)
그는 모든 자기의 견해, 전해들은 학문(學問), 계율이나 도덕,
사색한 것에 대해서 자신 안에서 자기 나름대로 만의
어떤 결론을 내리고서 그것만을 집착한 나머지,
그밖에 다른 것은 모두 낮은 것으로 안다.

Because he sees in himself a good result, with regard to what has been seen (or) heard, virtue and (holy) works, or what has been thought, therefore, having embraced that, he looks upon everything else as bad[3].

*3. Yad attani passati anisamsam
Ditthe sute silavate mute va
Tad eva so tattha samuggahaya
Nihinato passati sabbam annam.

(798)
사람이 어떤 것에 의지하여
그밖에 다른 것은 모두 낮은 것이라고 본다면,
그것 또한 장애라고 여러 선인(善人)들은 말한다.
그러기 때문에 수행승은 본 것, 배운 것, 사색한 것,
또는 계율이나 도덕에 구애를 받아서는 안된다.

The expert call just that a tie dependent upon which one  looks upon anything else as bad. Therefore let a Bhikkhu not depend upon what is seen, heard, or thought, or upon virtue and (holy) works[1].

*1. Tam vapi gantham kusala vadanti
Yam nissito passati hinam annam,
Tasma hi dittham va sutam mutam va
Silabbatam bhikkhu na nissayeyya.

(799)
지혜에 대해서도, 계율이나 도덕에 대해서도
이 세상에서 편견을 마련하면 안된다.
자기를 남과 '동등하다'고 간주하지도 말고
남보다 못하다거나 또는 뛰어나다고 생각해서도 안된다.

Let him not form any (philosophical) view in this world, either by knowledge or by virtue and (holy) works, let him not represent himself equal (to others), nor think himself either low or distinguished.

(800)
그는 이미 가지고 있던 견해를 버리고 집착하지 않으며,
지혜에 대해서도 특별히 의존하지 않는다.
그는 실로 여러 가지 다른 견해로
분열된 사람들 틈에 있으면서 당파에 맹종하지 않고,
어떤 견해일지라도 그대로 믿는 일이 없다.

Having left what has been grasped, not seizing upon anything he does not depend even on knowledge. He does not associate with those that are taken up by different things, he does not return to any (philosophical) view[2].

*2. Attam pahaya anupadiyano
Nane pi so nissayam no karoti,
Sa ve viyattesu na vaggasari,
Ditthim pi so na pakketi kinki.

(801)
그는 여기 양극단에 의해서, 여러 생존에 의해서,
이 세상에서도 저 세상에서도 원하는 바가 없다.
모든 법에 대해 단정을 내려서 얻은
고집의 거처는 그에게는 조금도 없다.

For whom there is here no desire for both ends, for reiterated existence either here or in another world, for him there are no resting-places (of the mind) embraced after investigation amongst the doctrines (dhammesu)[3].

*3. Yass' ubhayante panidhidha n' atthi
Bhavabhavaya idha va huram va
Nivesana tassa na santi keki
Dhammesu nikkheyya samuggahita.

(802)
그는 이 세상에서 본 것, 배운 것, 또는 사색한 것에 대해서
티끌만한 망상도 꾸미지 않는다.
어떠한 견해에도 집착하지 않는 바라문이,
어찌 이 세상에서 망상 분별하겠는가.

ln him there is not the least prejudiced idea with regard to what has been seen, heard, or thought; how could any one  in this world alter such a Brahmana who does not adopt any view?

(803)
그들은 망상 분별하지 않고,
그 어느 한가지 견해만을 유달리 존중하지도 않는다.
그들은 모든 여러 가지 법들을 원하지도 않는다.
바라문은 계율이나 도덕에 이끌리지도 않는다.
이러한 사람은 피안(彼岸)에 이르러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They do not form (any view), they do not prefer (anything), the Dhammas are not chosen by them, a Brahmana is not dependent upon virtue and (holy) works; having gone to the other shore, such a one  does not return.

- Paramatthakasutta is ended.

4-6. 늙음

GARASUTTA.

From selfishness come grief and avarice; The Bhikkhu who has turned away frorn the world and wanders about houseless, is independent, and does not wish for purification through another.


(804)
아, 짧도다, 인간의 생명이여.
백 살도 못되어 죽어버리는가.
이보다 더 오래 산다 해도 결국은 늙어서 죽는 것을.

Short indeed is this life, within a hundred years one  dies, and if any one  lives longer, then he dies of old age.

(805)
사람들은 내 것이라고 집착한 물건 때문에 근심한다.
자기가 소유한 것은 영원한 것(常住)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세상 것은 모두 변하고 없어지는 것으로 보고,
집에 머물러 있지 말아라.

People grieve from selfishness, perpetual cares kill them, this (world) is full of disappointment; seeing this, let one  not live in a house.

(806)
사람이 `이것은 내 것'이라고 생각하는 물건,
그것은 그 사람이 죽음으로 잃게 된다.
나를 따르는 사람은 현명하게 이 이치를 깨닫고,
내 것이라는 관념으로 향하지 말아라.

That even of which a man thinks 'this is mine' is left behind by death: knowing this, let not the wise (man) turn himself to worldliness (while being my) follower[1].

*1. Maranena pi tam pahiyati
Yam puriso mama-y-idan ti mannati,
Evam pi viditva pandito
Na pamattaya nametha mamako.

(807)
이를테면, 잠에서 깨어난 사람은
꿈속에서 만난 사람을 다시 볼 수 없듯이,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 이 세상을 떠나면
다시는 만날 수가 없다.

As a man awakened does not see what he has met with in his sleep, so also he does not see the beloved person that has passed away and is dead.

(808)
'누구누구'라고 이름도 잇고 소문도 났던 사람들도
한번 죽은 후에는 그 이름만이 남을 뿐이다.

Both seen and heard are the persons whose particular name is mentioned, but onl y the name remains undecayed of the person that has passed away[1].

*1. Ditthapi sutapi te gana
Yesam namam idam pavukkati
Namam evavasissati
Akkheyyam petassa gantuno.

(809)
내 것이라고 집착한 것을 탐내어 구하는 사람은,
걱정과 슬픔과 인색함을 버리지 못한다.
그러므로 안온함을 얻은 성인들은 소유를 버리고 행동했다.

The greedy in their selfishness do not leave sorrow, lamentation, and avarice; therefore the Munis leaving greediness wandered about seeing security (i.e. Nibbana).

(810)
집착함이 없이 한걸음 물러나서 행동하는 수행승은
멀리 떨어진 앉을 곳을 즐겨 찾는다.
그가 생존의 영역 속에 자기를 드러내지 않는다면,
그것은 그에게 어울리는 일이다.

For a Bhikkhu, who wanders about unattached and cultivates the mind of a recluse, they say it is proper that he does not show himself (again) in existence[2].

*2. Patilinakarassa bhikkhuno
Bhagamanassa vittamanasam[*]
Samaggiyam ahu tassa tam
Yo attanam bhavane na dassaye.

(811)
성인은 아무 것에도 의지하지 않고
사랑하거나 미워하지 않는다.
또 슬픔도 인색함도 그를 더럽히지 않는다.
마치 연꽃잎에 물이 묻지 않는 것처럼.

Under all circumstances the independent Muni does not please nor displease (any one ); sorrow and avarice do not stick to him (as little) as water to a leaf.

(812)
이를테면 연꽃잎에 물방울이 묻지 않듯이,
또 연꽃위의 물이 연꽃을 더럽히지 못하듯이
성인은 보고 배우고 사색한 어떤 것에도 더렵혀지지 않는다.

As a drop of water does not stick to a lotus, as water does not stick to a lotus, so a Muni does not cling to anything, namely, to what is seen or heard or thought[3].

*3. Udabindu yathapi pokkhare
Padume vari yatha na lippati
Evam muni nopalippati
Yad idam dittthasutam mutesu va.

*. Bi has vivitta-.

(813)
나쁜 견해를 털어버린 깨끗한 사람은
보고 배우고 생각한 그 어떤 것에도
유달리 집착하여 생각하지 않는다.
자기 아닌 남에 의해서 깨끗해지려고 하지 않는다.
그는 탐내지 않고 탐욕에서 떠나려고 탐하지도 않는다.

He who has shaken off (sin) does not therefore think (much of anything) because it has been seen or heard or thought; he does not wish for purification through another, for he is not pleased nor displeased (with anything)[1].

*1. Dhono na hi tena mannati
Yad idam ditthasutam mutesu va,
Nannena visuddhim ikkhati,
Na hi so raggati no viraggati.
Comp.
Suddhatthakasutta, v. 2.

- Garasutta is ended.


4-7. 띠사 메떼야

TISSAMETTEYYASUTTA.

Sexual intercourse should be avoided.


(814)
장로 띠사 메떼야가 말했다.
"스승이시여, 성(邪淫行:methuna)에 탐닉하는 자의 파멸을 말씀해주십시오.
당신의 가르침을 듣고 우리도 멀리할 것을 배우겠습니다."

'Tell me, O venerable one ,'--so said the venerable Tissa Metteyya,--'the defeat of him who is given to sexual intercourse; hearing thy precepts we will learn in seclusion.'

(815)
스승께서는 대답하셨다.
"메떼야여, 성(性)에 탐닉하는 자는 나의 가르침을 잃고,
성행(性行)을 행한다.
이것은 그들 안에 있는 거룩하지 못한 요소이다.

'The precepts of him who is given to sexual intercourse, O Metteyya,'--so said Bhagavat,--'are lost, and he employs himself wrongly, this is what is ignoble in him.

(816)
여태까지는 독신으로 살다가 나중에 성욕에 빠지는 자는,
수레가 길에서 벗어난 것과 같다.
세상 사람들은 그를 소인(小人) 범부라 부른다.

'He who, having formerly wandered alone, gives himself up to sexual intercourse, him they call in the world a low, common fellow, like a rolling chariot.

(817)
지금껏 그가 가졌던 명예와 명성을 다 잃게 된다.
이 일을 보고 성에 대한 탐욕을 끊을 것을 배우라.

'What honour and renown he had before, that is lost for him; having seen this let him learn to give up sexual intercourse.

(818)
그는 온갖 욕심스러운 생각(想)에 사로잡혀
가난뱅이처럼 여러 가지 생각을 한다.
이런 사람은 남의 좋은 평판을 듣고 부끄러워한다.
'He who overcome by his thoughts meditates like a miser, such a one , having heard the (blaming) voice of others, becomes discontented.


(819)
남에게 욕을 먹으면 칼날을 세우고 거짓말을 한다.
이것이 그에게 커다란 어려움이다.

'Then he makes weapons (i.e. commits evil deeds) urged by the doctrines of others, he is very greedy, and sinks into falsehood[1].

*1. Atha satthani kurute
Paravadehi kodito,
Esa khv-assa mahagedho,
Mosavaggam pagahati.

(820)
독신을 지키고 있을 때에는
여러 사람에게서 지혜로운 분이라고 인정받던 사람도,
성에 대한 탐욕에 빠지기 때문에
마침내 어리석은 사람처럼 괴로워한다.

'Designated "wise" he has entered upon a solitary life, then having given himself up to sexual intercourse, he (being) a fool suffers pain.

(821)
성인은 이 세상에서 앞뒤로 이러한 재난이 있음을 알아
굳게 독신을 지키고 성행(性行)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Looking upon this as misery let the Muni from first to last in the world firmly keep to his solitary life, let him not give himself up to sexual intercourse.

(822)
속된 일에서 떠나는 것을 배우라.
이것은 모든 성자에게 있어 으뜸가는 일이다.
그렇지만 이것만으로 자기가 최상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다만 고요(열반)에 가까워졌을 뿐이다.

'Let him learn seclusion, this is the highest for noble men, but let him not therefore think himself the best, although he is verily near Nibbana.

(823)
성자는 온갖 속된 즐거움을 거들떠보지 않으며,
이를 떠나 행하고 흐름을 건넜기 때문에,
온갖 속된 즐거움에 속박되어 살고 있는 사람들은
그를 부러워한다."

'The Muni who wanders void (of desire), not coveting sensual pleasures, and who has crossed the stream, him the creatures that are tied in sensual pleasures envy.'

- Tissametteyyasutta is 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