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4장 여덟 시구(詩句) 이야기 3
숫타니파타
(Sutta-nipata)
제4장 여덟 시구(詩句) 이야기
IV. ATTHAKAVAGGA.
4-13. 큰 토막 문답들 (長篇)
MAHAVIYUHASUTTA.
Philosophers cannot lead to purity, they onl y praise themselves and stigmatise others. But a Brahmana has overcome all dispute, he is indifferent to learning, he is appeased.
(895)
이러한 견해에 머무르면서 "이것만이 진실이다"라고
논쟁하는 사람들, 그들은 모두 남의 비난을 불러온다.
다만 그저 그만한 일부 사람들의 칭찬을 받을 뿐.
Those who abiding in the (philosophical) views dispute, saying, 'This is the truth,' they all incur blame, and they also obtain praise in this matter.
(896)
가령 칭찬을 받는다 할지라도 그것은 보잘 것 없는
것이어서 평안을 얻을 수는 없다.
논쟁의 결과는 칭찬과 비난 두 가지라고 나는 말한다.
이 도리를 보고 그대들은 논쟁이 없는 경지를
안온하게 알아 논쟁을 하지 말아라.
This is little, not enough to (bring about) tranquillity, I say there are two fruits of dispute; having seen this let no one dispute, understanding Khema (i.e. Nibbana) to be the place where there is no dispute.
(897)
대개 범속한 무리들이 갖는 이러한 모든 세속적인 견해를
지자(知者)들은 가까이 하지 않는다.
그는 보고 듣는 일에 대해 "이것이다"라고 인정해버리고
마는 일이 없기 때문에 걸리는 일이 없다.
그는 무엇 때문에 걸릴 것인가.
The opinions that have arisen amongst people, all these the wise man does not embrace; he is independent. Should he who is not pleased with what has been seen and heard resort to dependency[1]?
(898)
계율을 최상의 것으로 받드는 사람들은
`계를 지킴으로써 청정함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며
서계(誓戒:vata)를 받든다.
"우리는 이 가르침을 배우자.
그러면 깨끗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고 하면서,
진실을 잘 안다는 말하는 사람들은 덧없는 생존에
끌려가고 있다.
Those who consider virtue the highest of all, say that purity is associated with restraint; having taken upon themselves a (holy) work they serve. Let us learn in this (view), then, his (the Master's) purity; wishing for existence they assert themselves to be the onl y expert[2].
*1. Ya kak' ima sammutiyo puthugga
Sabba va eta na upeti vidva,
Anupayo so, upayam kim eyya
Ditthe sute khantim[*] akubbamano?
*2. Siluttama sannamenahu suddhim,
Vatam samadaya upatthitase,
Idh' eva sikkhema ath' assa suddhim,
Bhavupanita kusala vadana.
*. So all the MSS.
(899)
만약 그가 계율이나 서계(誓戒)를 깨뜨렸다면
그는 계율이나 서계를 등지고 두려워 떤다.
그는 "이곳에만 청정이 있다"라고 갈망한다.
이를테면, 대상(隊商)에서 이탈된 사람이 무리를 찾고,
집을 떠난 나그네가 집을 찾는 것처럼.
If he falls off from virtue and (holy) works, he trembles, having missed (his) work; he laments, he prays for purity in this world, as one who has lost his caravan or wandered away from his house.
(900)
모든 계율과 서계(誓戒)도 저버리고,
세상에서 죄과가 있는 혹은 죄과가 없는
이 행위(業)들도 다 버리고,
'청정하다' 든가 '부정하다' 든가 하면서
무엇을 구하는 바도 없이,
그것들에 얽매이지 말고 행하여라.
고요에 집착하지도 말고.
Having left virtue and (holy) works altogether, and both wrong and blameless work, not praying for purity or impurity, he wanders abstaining (from both purity and impurity), without having embraced peace.
(901)
혹은 하기 싫은 고행에 의하여,
혹은 견해, 전해들은 학문, 사상으로 인해 보고
음성을 높여 깨끗함을 찬탄하는 이는,
덧없는 생존에 대한 갈애를 떠나지 못했다.
By means of penance, or anything disliked, or what has been seen, or heard, or thought, going upwards they wail for what is pure, without being free from desire for reiterated existence.
(902)
원하고 구하는 이에게는 욕심이 있다.
또 계략이 있을 때는 두려움이 있다.
이 세상에서 생도 사도 없는 사람,
그는 무엇을 두려워하며, 무엇을 욕구 하겠는가.
For him who wishes (for something there always are) desires[1], and trembling in (the midst of his) plans; he for whom there is no death and no re-birth, how can he tremble or desire anything?
(903)
어떤 사람들이 가장 뛰어나다고 하는 가르침(法)을
다른 사람들은 열등한 것이라고 한다.
이 중에서 어느 것이 진실한 말일까.
그들은 저마다 자기야말로
진리를 잘아는 사람이라고 말하지만.
What some call the highest Dhamma, that others again call wretched; which one of these, pray, is the true doctrine (vada)? for all these assert themselves (to be the onl y) expert.
(904)
그들은 자기의 가르침(法)을 완전하다 하고,
남의 가르침(法)을 열등하다고 한다.
그들은 이렇게 서로 달리 파악하고 논쟁하며,
저마다 자기 가설(假說)을 진리라고 말한다.
Their own Dhamma they say is perfect, another's Dhamma again they say is wretched; so having disagreed they dispute, they each say their own opinions (are) the truth.
(905)
만약 남에게 멸시받고 있기 때문에 열등하다고 한다면
모든 가르침 가운데서 뛰어난 것은 하나도 없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자기 주장만을 고집하고 말하면서,
남의 가르침은 덜됐다고 하기 때문이다.
If one (becomes) low by another's censure, then there will be no one distinguished amongst the Dhammas; for they all say another's Dhamma (is) low, in their own they say there is something firm[2].
*1. Gappitani.
*2. Parassa ke vamhayitena hino
Na koki dhammesu visesi assa,
Puthu hi annassa vadanti dhammam
Nihinato samhi dalham vadana.
(906)
그들은 자기의 도(道)를 찬탄하는 것처럼,
자기의 가르침(法)을 존중하고 있다.
그렇다면 모든 논의(論議)는
말 그대로 진실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는 그 논의들은
제각기 제나름대로 다 깨끗하기 때문이다.
The worshipping of their own Dhamma is as great as their praise of their own ways; all schools would be in the same case, for their purity is individual[1].
(907)
참된 바라문들은 남에게 이끌리지 않는다.
또한 여러 가르침에 대해서 단정을 내려서 고집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모든 논쟁을 초월해 있다.
남의 가르침을 가장 훌륭하다고 보지도 않기 때문이다.
There is nothing about a Brahmana dependent upon others, nothing amongst the Dhammas which he would embrace after investigation; therefore he has overcome the disputes, for he does not regard any other Dhamma as the best.
(908)
"우리는 안다. 우리는 본다. 이것은 사실이다"라는
견해에 의하해서 어떤 사람들은 깨끗함이 무엇인가를 이해한다.
비록 그가 보았다 하더라도
그 자신에게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
그들은 바른 길에서 벗어나
다른 일에 의해 깨끗함을 말한다.
'I understand, I see likewise this,' so saying, some by (their philosophical) views return to purity. If he saw purity, what then (has been effected) by another's view? Having conquered they say that purity exists by another[2].
(909)
보는 사람은 명칭과 형태를 본다.
보고 나서는 그것들을 상주(常住), 안락, 실아(實我)라고 안다.
보고 싶은 사람은 많든 적든 그렇게 볼 것이다.
진리를 잘 아는 사람들은 그렇게 봄으로써
청정해진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A seeing man will see name and form, and having seen he will understand those (things); let him at pleasure see much or little, for the expert do not say that purity exists by that.
(910)
집착하여 말하는 사람은 스스로의 견해를 존중하므로
그를 이끌기란 매우 어렵다.
자기가 의지하여 믿고 있는 것만이 옳다고 하며,
그것에서만 청정을 인정하는 논자(論者)는
그와 같이 일방적으로만 본 것이다.
A dogmatist is no leader to purity, being guided by prejudiced views, saying that good consists in what he is given to, and saying that purity is there, he saw the thing so[3].
*1. Sadhammapuga ka pana tath' eva
Yatha pasamsanti sakayanani,
Sabbe pavada tath' iva bhaveyyum
Suddhi hi nesam pakkattam eva.
*2. Ganami passami tath' eva etam
ditthiya eke pakkenti suddhim
Addakkhi ke kim hi tumassa tena
Atisitva annena vadanti suddhim.
*3. Nivissavadi na hi suddhinayo
Pakappita ditthi purekkharano
Yam nissito tattha subham vadano
Suddhim vado tattha, tath' addasa so.
(911)
바라문은 바르게 알고 망상 분별에 가지 않는다.
견해에 흐르지 않고 지식에도 매이지 않는다.
그는 범속한 사람들이 세우는 모든 견해를 알고
마음에 두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은 거기에 집착하고 있지만.
A Brahmana does not enter time, (or) the number (of living beings), (he is) no follower of (philosophical) views, nor a friend of knowledge; and having penetrated the opinions that have arisen amongst people, he is indifferent to learning, while others acquire it.
(912)
성자는 이 세상에서 여러 가지 속박을 버리고,
논쟁이 벌어졌을 때에도 어느 한쪽에 가담하지 않는다.
그는 불안한 사람들 가운데 있으면서도
평안하고 어디에도 마음을 두지 않고 태연하며 집착함이 없다.
다른 사람들은 거기에 집착하고 있지만.
The Muni, having done away with ties here in the world, is no partisan in the disputes that have arisen; appeased amongst the unappeased he is indifferent, not embracing learning, while others acquire it.
(913)
지나간 번뇌의 흐름은 버리고
새로운 번뇌의 흐름을 짓지 않으며
욕심에 빠지지 않고 논쟁에 집착하는 일도 없다.
현자는 모든 견해를 벗어나 세상에 물들지 않으며,
자책할 일도 없다.
Having abandoned his former passions, not contracting new one s, not wandering according to his wishes, being no dogmatist, he is delivered from the (philosophical) views, being wise, and he does not cling to the world, neither does he blame himself.
(914)
현자는 보고 배우고 생각한 학문과 사상
그 모든 법들에 대해서도 맞서지 않는다.
성자는 멍에를 벗은 자이고 해탈한 자이다.
그는 계략을 꾸미지 않고, 쾌락에 빠지지 않으며,
구하지도 않는다.
Being secluded amongst all the doctrines (dhamma), whatever has been seen, heard, or thought, he is a Muni who has laid down his burden and is liberated, not belonging to time (na kappiyo), not dead, not wishing for anything. So said Bhagavat.
- Mahaviyuhasutta is ended.
4-14. 빠름
TUVATAKASUTTA.
How a Bhikkhu attains bliss, what his duties are, and what he is to avoid.
(915)
"태양의 후예이신 위대한 선인(仙人:부처님)께
세속에서 멀리 떠나는 일과 고요의 경지에 대해서 묻겠습니다.
수행자는 어떻게 관찰해야 세상의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고 고요에 들 수 있겠습니까?"
'I ask thee, who art a kinsman of the Adikkas and a great Isi, about seclusion (viveka) and the state of peace. How is a Bhikkhu, after having seen it, extinguished, not grasping at anything in the world?'
(916)
스승께서는 대답하셨다.
"내가 있다고 생각하는
망념(妄念)된 퍼지는 의식의 근본을 모두 제지(制止)하고,
안에 도사리고 있는 어떠한 갈망과 애착까지도
눌러버리도록 항상 신념있게 하여 배우라.
'Let him completely cut off the root of what is called papanka[1] (delusion), thinking "I am wisdom;"'--so said Bhagavat,--'all the desires that arise inwardly, let him learn to subdue them, always being thoughtful.
(917)
안팎으로 될 수 있는 한, 모든 법을 알아 버려라.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교만한 마음을 내서는 안된다.
이미 진실에 도달한 사람들은
그것이 고요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Let him learn every Dhamma inwardly or outwardly; let him not therefore be proud, for that is not called bliss by the good.
(918)
이 교만한 마음으로 말미암아 `나는 낫다'라고 생각하지 말라.
`나는 모자란다'라고도 생각하지 말고
혹은`나는 낫지도 모자라지도 않고 그저 그만하다'라고도
생각하지 말라. 여러 가지 질문을 받더라도 자기가 잘났다고
망녕된 생각을 하지 말라.
'Let him not therefore think himself better (than others or) low or equal (to others); questioned by different people, let him not adorn himself[2].
*2. Natumanam vikappayan titthe.
(919)
수행자는 안으로 마음이 고요해야 한다.
밖에서 고요함을 찾지 말라.
안으로 고요하게 된 사람에게서는
고집할 것(atta:我)이 없다.
하물며 어찌 버릴 것(niratta:非我)이 있으랴.
'Let the Bhikkhu be appeased inwardly, let him not seek peace from any other (quarter); for him who is inwardly appeased there is nothing grasped or rejected.
(920)
바다 속에는 파도가 일지 않고 고요히 멎어 있듯이
고요히 멎어 움직이지 말아라.
수행자는 무슨 일에나 욕심이 솟아오르게 해서는 안된다."
'As in the middle (i.e. depth) of the sea no wave is born, (but as it) remains still[3], so let the Bhikkhu be still[3], without desire, let him not desire anything whatever.'
(921)
"눈을 뜨신 분께서는 몸소 체험하신 법,
위험의 극복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
바라옵건대, 바른 길을 일러 주십시오.
계율규정(patimokkha:戒律規定)이나
정신안정의 법(samadhi:三昧)도 말씀해 주십시오."
He with open eyes expounded clearly the Dhamma that removes (all) dangers; tell (now) the religious practices; the precepts or contemplation[4].
*3. Thito.
*4. Akittayi vivatakakkhu sakkhi
Dhammam parissayavinayam,
Patipadam vadehi, bhaddan te,
Patimokkham athavapi samadhim.
(922)
"눈으로 보이는 것에 탐내지 말아라.
저속한 이야기에 귀를 멀리 하라.
맛에 따라가지 말아라.
세상에 있는 어떤 것이라도 내 것이라고 고집하지 말아라.
Bhagavat: 'Let him not be greedy with his eyes, let him keep his ears from the talk of the town, let him not be greedy after sweet things, and let him not desire anything in the world.
(923)
고통을 느껴질 때라도
수행자는 결코 비탄에 빠져서는 안된다.
생존을 탐내서는 안된다.
무서운 것을 만났을 때도 떨어서는 안된다.
'When he is touched by the touch (of illness), let the Bhikkhu not lament, and let him not wish for existence anywhere, and let him not tremble at dangers.
(924)
먹을 것이나 마실 것이나 딱딱하게 굳은 식물
또는 옷을 얻더라도 묵히거나 쌓아 두어서는 안된다.
또 그런 것을 얻을 수 없다 해서 걱정해서도 안된다.
'Having obtained boiled rice and drink, solid food and clothes, let him not store up (these things), and let him not be anxious, if he does not get them.
(925)
마음을 안정시켜라. 방황해서는 안된다.
후회함을 그쳐라. 게으르지 말아라.
그리고 수행자는 한가하고 고요한 앉을 자리와
누울 곳에서 살아야 한다.
'Let him be meditative, not prying, let him abstain from misbehaviour[1], let him not be indolent, let the Bhikkhu live in his quiet dwelling.
(926)
잠을 많이 자서는 안된다.
부지런하고 깨어 있어야 한다.
권태와 위선과 담소(淡笑)와 유희와
이성간의 교제와 겉치레를 버려라.
'Let him not sleep too much, let him apply himself ardently to watching, let him abandon sloth, deceit, laughter, sport, sexual intercourse, and adornment.
(927)
내 제자는 아타르바 베다의 주법(呪法)과 해몽과
관상과 점(占星)을 쳐서는 안 된다.
그리고 새, 짐승의 소리를 듣고 점치거나,
임신술(姙娠術)이나 의술(醫術)을 행해서도 안된다.
'Let him not apply himself to practising (the hymns of) the Athabbana(-veda), to (the interpretation of) sleep and signs, nor to astrology; let not (my) follower (mamaka) devote himself to (interpreting) the cry of birds, to causing impregnation, nor to (the art of) medicine.
(928)
수행자는 비난을 받더라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칭찬을 받더라도 우쭐거리지 말아야 한다.
탐욕과 인색과 성냄과 헐뜯는 말(兩舌)을 멀리해야 한다.
'Let the Bhikkhu not tremble at blame, nor puff himself up when praised; let him drive off covetousness together with avarice, anger, and slander.
(929)
수행자는 사교하는데 종사해서는 안된다.
결코 남을 비방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과 가까이 교제해서도 안된다.
이익을 얻으려고 사람들에게 말을 걸어서는 안된다.
'Let the Bhikkhu not be engaged in purchase and sale, let him not blame others in anything, let him not scold in the village, let him not from love of gain speak to people.
(930)
또 수행자는 거만해서는 안된다.
자기의 이익을 위해 책략적인 언사를 써서도 안된다.
오만해지지 말고 불화를 가져올 말을 해서는 안된다.
'Let not the Bhikkhu be a boaster, and let him not speak coherent[2] language; let him not learn pride, let him not speak quarrelsome language.
*1. Virame kukkukkam.
*2. Payuta; comp. Nalakasutta, v. 33.
(931)
거짓말을 피하라. 조심해서 속이지 않도록 하라.
그리고 생활에 대해서나 지혜에 대해서,
혹은 계율이나 도덕에 대해서,
자기가 남보다 뛰어났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Let him not be led into falsehood, let him not consciously do wicked things; and with respect to livelihood, understanding, virtue, and (holy) works let him not despise others.
(932)
출가 수행자나 말 많은 세속인들에게 부끄러움을 당하거나
부끄러운 말을 많이 듣더라도 거친 말로 대꾸해서는 안된다.
선한 사람들은 적대적인 대답을 하지 않는다.
'Having heard much talk from much-talking Samanas let him not irritated answer them with harsh language; for the good do not thwart[1] others.
(933)
수행자는 이 이치(法)를 알아,
잘 분별하고 늘 잊지 말고 명심해서 배우라.
모든 번뇌의 소멸된 상태가 고요(santi:寂靜)임을 알고,
고오타마의 가르침에 게을리하지 말아라.
'Having understood this Dhamma, let the investigating and always thoughtful Bhikkhu learn; having conceived bliss to consist in peace, let him not be indolent in Gotama's commandments.
(934)
그는 스스로 이기고 남에게 지는 일이 없다.
남에게서 전해 들은 것이 아니고
스스로 직접 증득(證得)하는 이치(法)를 보았다.
그러므로 여래의 가르침에 게으르지 말고,
항상 예배하고 따라 배우라."
이와 같이 스승(부처님)은 말씀하셨다.
'For he a conqueror unconquered saw the Dhamma visibly, without any traditional instruction[2]; therefore let him learn, heedful in his, Bhagavat's, commandments, and always worshipping.'
- Tuvatakasutta is ended.
* 양설(兩舌) : pesuniya 본인이 없는데서 그 사람을 헐뜯는 말
4-15. 몽둥이를 드는 일
ATTADANDASUTTA.
Description of an accomplished Muni.
(935)
말다툼하는 사람들을 보라.
몽둥이를 드는 데서 공포가 생긴 것이다.
내가 어떻게 해서 그것을 두려워 멀리했는지,
두려워 멀리하는 것에 대해서 말하리라.
From him who has seized a stick fear arises. Look at people killing (each other); I will tell of grief as it is known to me.
(936)
물이 적은 곳에 있는 물고기처럼
두려워 떨고 있는 사람들을 보고,
또 서로 반목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고,
나에게 두려움이 일어났다.
Seeing people struggling like fish in (a pond with) little water, seeing them obstructed by each other, a fear came over me.
(937)
이 세상 어디나 굳건하지는 않다.
어느 곳이나 모두 흔들리고 있다.
나는 내가 의지해야 할 곳을 찾았지만,
이미 죽음과 고통에 의해
점거되지 않은 곳을 볼 수 없었다.
The world is completely unsubstantial, all quarters are shaken; wishing for a house for myself I did not see (one) uninhabited.
(938)
온갖 살아 있는 것이
결국 마지막에는 뜻대로 되지 않고
그와는 도리어 반대로 되어버리는 것을 보고
나는 불쾌해졌었다.
그리고 나는 그들의 마음 속에 차마 볼 수 없는
번뇌의 화살이 숨어 있는 것을 보았다.
But having seen (all beings) in the end obstructed, discontent arose in me; then I saw in this world an arrow, difficult to see, stuck in the heart.
*1. Patisenikaronti.
*2. Sakkhi dhammam anitiham adassi.
(939)
이 화살을 맞은 자는 사방을 헤맨다.
이 화살을 뽑아 버리면
헤매지도 않고 가라앉지도 않는다.
He who has been pierced by this arrow runs through all quarters; but having drawn out that arrow, he will not run, he will sit down (quietly).
(940)
세상에서는 여러 가지 학문을 배운다.
그러나 그런 여러 가지 속박의 굴레에 탐닉해서는 안된다.
모든 속된 즐거움을 통찰하고 자기의 고요를 배우라.
There (many) studies are gone through; what is tied in the world let him not apply himself to (untie) it; having wholly transfixed desire, let him learn his own extinction (nibbana).
(941)
성자는 성실해야 한다.
오만하지 않고 속임수가 없고
남을 헐뜯지 않고 성냄이 없고
탐욕과 인색을 초월해야 한다.
Let the Muni be truthful, without arrogance, undeceitful, free from slander, not angry, let him overcome avarice.
(942)
마음의 고요함에 뜻을 두는 사람은
잠과 권태와 우울을 이겨내야 한다.
게으름에 머무르면 안된다.
교만에 머물러 있어도 안된다.
Let the man who has turned his mind to Nibbana conquer sleepiness, drowsiness, and sloth; let him not live together with indolence, let him not indulge in conceit.
(943)
거짓말을 피하라.
아름다운 모양에 애착을 일으키지 말아라.
또 교만한 마음을 잘 알아라.
포악을 떠나서 행하라.
Let him not be led into falsehood, let him not turn his affection to form; let him penetrate arrogance, let him wander abstaining from violence.
(944)
낡은 것, 지나간 것을 좋아하지 말아라.
새로운 것, 현재에 매혹당하지도 말아라.
사라져 가는 것을 슬퍼하지 말아라.
끌어당기는 자(akasa:妄執)에게 끌려가지 말아라.
Let him not delight in what is old, let him not bear with what is new, let him not grieve for what is lost, let him not give himself up to desire[1].
(945)
나는 끌어당기는 자를 탐욕, 거센 흐름,
빨아들이는 욕구라고 부르며
또는 계략(pakappana:遍計), 포착(arammana:捕捉),
넘기 힘든 속된 욕망의 진흙탕이라고도 한다.
(This desire) I call greed, the great stream, I call (it) precipitation, craving, a trouble, a bog of lust difficult to cross[2].
*1. Akasam na sito siya ti tanham nissito na bhaveyya. Commentator.
*2. Gedham brumi mahogho ti
Agavam brumi gappanam
Arammanam pakappanam
Kamapamko durakkayo.
(946)
바라문인 성자는 진실에서 떠나지 않고
땅(고요함) 위에 서 있다.
그는 모든 것을 버리고 '고요하게 된 사람'이라 불린다.
The Muni who without deviating from truth stands fast on the firm ground (of Nibbana, being) a Brahmana, he, having forsaken everything, is indeed called calm.
(947)
그는 지자(智者)이고 베다의 달인(達人)이다.
그는 이치(法)을 알아 걸림이 없다.
그는 세상에서 바르게 행동하고,
이 세상에서 그 누구도 부러워하지 않는다.
He indeed is wise, he is accomplished, having understood the Dhamma independent (of everything); wandering rightly in the world he does not envy any one here.
(948)
이 세상에서 모든 속된 즐거움을 초월하고,
극복하기 어려운 집착을 넘어선 사람은
떠내려가지 않고, 얽매이지 않는다.
걱정하지 않고 사모하여 애태우지도 않는다.
Whosoever has here overcome lust, a tie difficult to do away with in the world, he does not grieve, he does not covet[1], having cut off the stream, and being without bonds.
(949)
과거에 있었던 것(번뇌)을 말려버려라.
미래에는 그대에게 아무것도 없게 하라.
중간(현재)에도 아무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다면
그대는 고요하게 행하게 되리라.
What is before (thee), lay that aside; let there be nothing behind thee; if thou wilt not grasp after what is in the middle, thou wilt wander calm[2].
(950)
명칭과 형태에 대해서 내 것이라는 생각이 전혀 없는 사람,
또는 무엇인가 없다고 해서 근심하지 않는 사람,
그는 참으로 이 세상에서도 늙지 않는다.
The man who has no desire at all for name and form (individuality) and who does not grieve over what is no more, he indeed does not decay in the world[3].
(951)
"이것은 내 것이다" 또는 "이것은 남의 것이다" 라는
이런 생각이 전혀 없는 사람,
그는 내것이라는 관념이 없으므로,
"내게는 없다"라고 하면서 슬퍼하지 않는다.
He who does not think, 'this is mine' and 'for others there is also something,' he, not having egotism, does not grieve at having nothing[4].
(952)
시기하지 않고, 탐내지 않으며,
흔들리며 괴로워하지 않고, 만물에 대해 평등하다.
흔들리지 않는 사람에 대해 묻는 이가 있거든,
나는 그의 아름다운 점을 이렇게 말하리라.
Not being harsh, not greedy, being without desire, and being the same under all circumstances (samo[5]),--that I call a good result, when asked about an undaunted man.
*1. Naggheti = nabhigghati (read nabhigghayati). Commentator.
*2. Comp. infra, Gatukannin's question, v. 4, and Dhammapada, p. 308.
*3. Comp. infra, Gatukannin's question, v. 5.
*4. Yassa n'atthi 'idam me' ti
'Paresam vapi kinkanam'
Mamattam so asamvindam
'N' atthi me' ti na sokati.
*5. = upekhako. Commentator.
(953)
흔들리며 괴로워하지 않는,
지혜(叡智)가 있는 사람에게는
어떠한 작위(作爲)도 있을 수 없다.
그는 노작(勞作)에서 벗어나 가는 곳마다 고요를 본다.
For him who is free from desire, for the discerning (man) there is no Samkhara; abstaining from every sort of effort he sees happiness everywhere[1].
(954)
성자는 자기가 대등한 사람들 속에 있다고 말하지 않고,
못난이들 속에 있다거나
잘난 사람들 속에 있다고도 말하지 않는다.
그는 고요에 돌아가 인색하지 않고,
취(取)하지도 않고 버리지도 않는다.
The Muni does not reckon himself amongst the plain, nor amongst the low, nor amongst the distinguished; being calm and free from avarice, he does not grasp after nor reject anything[2].
*1. Anegassa viganato
N' atthi kaki nisamkhiti,
Virato so viyarambha
Khemam passati sabbadhi.
*2. Comp. supra, Purabhedasutta, vv. 15, 20 {sic., vv. 8, 13}.
- Attadandasutta is ended.
4-16. 사아리풋타(舍利子)
SARIPUTTASUTTA.
On Sariputta asking what a Bhikkhu is to devote himself to, Buddha shows what life he is to lead.
(955)
존자(尊者) 사리자는 여쭈었다.
"저는 아직 본 일도 없고
누구에게서 들은 일도 없습니다.
아름다운 많은 무리의 주인(主)이신 스승께서
도솔천에서 내려오신 그와 같이 아름다운 이야기를.
'Neither has before been seen by me,'--so said the venerable Sariputta,--'nor has any one heard of such a beautifully-speaking master, a teacher arrived from the Tusita heaven.
(956)
눈 있는 사람이신 부처님께서는
천신과 세상 사람들이 보는 것처럼,
모든 암흑을 벗겨 버리고
홀로 법의 즐거움을 받으셨습니다.
'As he, the clearly-seeing, appears to the world of men and gods, after having dispelled all darkness, so he wanders alone in the midst (of people).
(957)
걸림 없이 거짓 없이
많은 무리들의 사범(師範)으로 오신 스승,
깨달으신 분이신 당신께,
속박된 많은 무리들을 위해 묻고자 이곳에 왔습니다.
'To this Buddha, who is independent, unchanged, a guileless teacher, who has arrived (in the world), I have come supplicatingly with a question[3] from many who are bound in this world.
(958)
수행자는 세상이 싫어 사람이 없는 곳이나
나무 아래, 혹은 묘지를 좋아하고
산골짜기의 동굴 속에 거처합니다.
'To a Bhikkhu who is loath (of the world) and affects an isolated seat, the root of a tree or a cemetery, or (who lives) in the caves of the mountains,
*1. Anegassa viganato
N' atthi kaki nisamkhiti,
Virato so viyarambha
Khemam passati sabbadhi.
*2. Comp. supra, Purabhedasutta, vv. 15, 20 {sic., vv. 8, 13}.
*3. Atthi panhena agamim = atthiko panhena agato 'mhiti atthikanam va panhena atthi agamanan ka ti. Commentator.
(959)
그리고 그밖에 여러 곳에 앉고 있지만,
그곳에는 얼마나 무서운 일들이 있을지 모릅니다.
수행자는 소리 없는 곳(無聲處)에 기거하더라도
무서워 떨어서는 안 됩니다.
'How many dangers (are there not) in these various dwelling-places at which the Bhikkhu does not tremble in his quiet dwelling!
(960)
아무도 가보지 않는 곳(agata:涅槃)으로 갈 때에는
이 세상에서 얼마나 위험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수행자는 외딴 곳에 기거하더라도
그러한 위험은 이겨내야 합니다.
'How many dangers (are there not) in the world for him who goes to the immortal region[1], (dangers) which the Bhikkhu overcomes in his distant dwelling!
(961)
부지런히 정진하는 수행자에게는
어떠한 말하는 법(語法)이 있습니까?
여기에서 그의 행동 경지(境地)는 어떠합니까?
그가 지키는 계율이나 맹세는 어떠한 것입니까?
'Which are his words, which are his objects in this world, which are the virtue and (holy) works of the energetic Bhikkhu?
(962)
마음을 한결같고 어질고 신념이 있는 사람은
어떠한 학문을 몸에 지녀 자기의 더러움을 씻어 버리는 것입니까?
마치 대장장이가 은(銀)에서 때를 벗겨 버리듯이."
'What study having devoted himself to, intent on one object[2], wise and thoughtful, can he blow off his own filth as the smith (blows off) that of the silver[3]?'
(963)
스승께서 대답하셨다.
"사리자여, 세상이 싫어 사람이 없는 곳에 기거하며
바른 깨달음을 원하는 사람들이 즐기는 경지와,
법을 따라 실천하는 차례를 내가 아는 대로
그대에게 말하리라.
'What is pleasant for him who is disgusted (with birth, &c.), O Sariputta,'--so said Bhagavat,--'if he cultivates a lonely dwelling-place, and loves perfect enlightenment in accordance with the Dhamma, that I will tell thee as I understand it.
(964)
신념이 있고 분수를 지키는 슬기로운 수행자는
다섯 가지 공포에 떨어서는 안된다.
즉, 말파리, 모기, 뱀, 도둑을 만나는 일과
네 발 가진 짐승들이다.
'Let not the wise and thoughtful Bhikkhu wandering on the borders[4] be afraid of the five dangers: gad-flies and (all other) flies[5], snakes, contact with (evil) men[6], and quadrupeds.
(965)
이교도들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아무리 그들에게 두려워할 많은 것이 있을지라도.
또한 선을 추구하여 다른 모든 위험을 이겨내라.
'Let him not be afraid of adversaries[7], even having seen many dangers from them; further he will overcome other dangers while seeking what is good.
*1. Gakkhato amatam disam.
*2. Ekodi = ekaggakitto. Commentator.
*3. Comp. Dhp. v. 239.
*4. Pariyantakari.
*5. Damsadhipatanan ti pingalamakkhikanan ka sesamakkhikanan ka, sesamakkhika hi tato adhipatitva khadanti, tasma adhipata ti vukkanti. Commentator.
*6. Manussaphassanan ti koradiphassanam. Commentator.
*7. Paradhammikanam.
(966)
병들고 굶주림을 느껴 당하더라도,
추위나 더위에도 견디어야 한다.
저 집 없는 사람은 그런 일들을 당함이 많더라도
용기를 가지고 굳세게 살아야 한다.
'Touched by sickness and hunger let him endure cold and excessive heat, let him, touched by them in many ways, and being houseless, make strong exertions.
(967)
도둑질을 하지 말아라. 거짓말을 하지 말아라.
약한 것이나 강한 것이나
모든 생물에게 자비한 마음으로 대하라.
마음의 혼란을 느꼈을 때는 '악마의 무리'라 생각하고
이것을 제거하라.
'Let him not commit theft, let him not speak falsely, let him touch friendly what is feeble or strong, what he acknowledges to be the agitation of the mind, let him drive that off as a partisan of Kanha (i.e. Mara).
(968)
분노와 교만에 지배되지 말아라.
그 뿌리를 뽑아 버리고 있어라.
또 유쾌한 것이나 불쾌한 것이나 둘 다 극복해야 한다.
'Let him not fall into the power of anger and arrogance; having dug up the root of these, let him live, and let him overcome both what is pleasant and what is unpleasant.
(969)
지혜를 가장 소중히 여기고
선(善)을 좋아하여 위험을 물리치라.
으슥한 곳에서 눕는 불쾌를 참으라.
다음 네 가지 걱정거리를 이겨야 한다.
'Guided by wisdom, taking delight in what is good, let him scatter those dangers, let him overcome discontent in his distant dwelling, let him overcome the four causes of lamentation.
(970)
"나는 무엇을 먹을까?"
"나는 어디서 먹을까?"
"어제 밤 나는 잠을 잘 못잤다."
"오늘 나는 어디서 잘 것인가?"
집을 버리고 도를 배우는 사람은
이러한 네 가지 걱정으로 가는 염려를 억제하여라.
'What shall I eat, or where shall I eat?--he lay indeed uncomfortably (last night)--where shall I lie this night? let the Sekha who wanders about houseless subdue these lamentable doubts.
(971)
적당한 때 먹을 것과 옷을 얻고,
이 세상에서는 적은 양으로 만족하기 위해
옷과 먹을 것의 양을 알아라.
그는 그 옷과 먹을 것들에 대해서 주의하고
마을을 거닐때는 조심하며,
욕을 먹더라도 나쁜 말로 대꾸해서는 안된다.
'Having had in (due) time both food and clothes, let him know moderation in this world for the sake of happiness; guarded in these (things) and wandering restrained in the village let him, even (if he be) irritated, not speak harsh words.
(972)
생명을 밟지 않도록 눈을 아래로 뜨고,
여기 저기 방황하지 말며,
일심으로 생각하고 똑똑하게 깨어 있으라.
선(禪)에 열중하고 잔뜩 깨어 있으라.
모든 것을 다 버린 한결같은 맑은 마음으로
분별과 의욕과 회한(悔恨)을 끊어 버려라.
'Let him be with down-cast eyes, and not prying, devoted to meditation, very watchful; having acquired equanimity let him with a composed mind cut off the seat of doubt, and misbehaviour.
(973)
남으로부터 말로 충고를 들었을 때에는 반성하고 감사하라.
함께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대한 거친 마음을 버려라.
좋은 말을 하고 때에 맞지 않는 말을 해서는 안된다.
남을 헐뜯으려는 생각을 해서도 안된다.
'Urged on by words (of his teachers) let him be thoughtful and rejoice (at this urging), let him break stubbornness in his fellow-students, let him utter propitious words and not unseasonable, let him not think detractingly of others.
(974)
또 다시 세상에는 다섯 가지 티끌이 있다.
신념이 있는 사람은 그것을 억제할 것을 배우라.
즉, 빛깔, 소리, 냄새, 맛, 감촉에 대한 탐욕을 이겨내라.
'And then the five impurities in the world, the subjection of which he must learn thoughtfully,--let him overcome passion for form, sound and taste, smell and touch.
(975)
수행승은 신념을 가지고 완전히 해탈한 마음으로
이런 법들에 대한 욕심을 억제하라.
그는 적당한 때에 법을 바르게 살피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암흑을 없애라."
'Let the Bhikkhu subdue his wish for these Dhammas and be thoughtful, and with his mind well liberated, then in time he will, reflecting upon Dhamma, and having become intent upon one object, destroy darkness.'
이와 같이 스승(부처님)은 말씀하시었다.
So said Bhagavat.
- Sariputtasutta is ended.
- Atthakavagga, the fourth.
'마음의 등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5장 피안(彼岸)에 이르는 길 이야기 2 (0) | 2012.10.10 |
---|---|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5장 피안(彼岸)에 이르는 길 이야기 1 (0) | 2012.10.10 |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4장 여덟 시구(詩句) 이야기 2 (0) | 2012.10.10 |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4장 여덟 시구(詩句) 이야기 1 (0) | 2012.10.10 |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3장 대품(大品) 5 (0) | 201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