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등불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2장 소품(小品) 3

맑은 샘물 2012. 10. 10. 02:16

숫타니파타(Sutta-nipata) / 제2장 소품(小品) 3

 

 

 

숫타니파타

(Sutta-nipata)

제 2 장 소품(小品)

KULAVAGGA.

- 작은 이야기

2-12. 니그로드하까빠(방기사)

VANGISASUTTA.

Vangisa desires to know the fate of Nigrodhakappa, whether he has been completely extinguished, or whether he is still with some elements of existence left behind. He is answered by Buddha.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에 거룩한 스승께서는

알라비에 있는 악갈라바 나무(靈樹) 밑에 계시었다.
그때는 방기사 존자의 스승인 니그로드하까빠라는 장로가
그 나무 밑에서 죽은 지(parinibbuta) 얼마 안 되어서였다.
방기사 존자는 홀로 앉아 명상에 잠겨 있다가 이런 생각을 하였다.
`열반에 들었다면 우리 스승은 정말로 돌아가신 것일까?
그렇지 않으면 죽지 않았을까?'
방기사 존자는 저녁때가 되자 명상에서 깨어나
스승(부처님)이 계신 곳으로 갔다.
거룩하신 스승께 절한 뒤 한쪽에 앉아 스승께 여쭈었다.
"거룩하신 스승이시여,
제가 홀로 앉아 명상에 잠겨 있을 때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 스승은 정말로 돌아가신 것일까,

그렇지 않으면 죽지 않았을까' 하고요."
방기사 존자는 일어서서 예법에 따라 옷을 왼쪽 어깨에 걸치고
스승께 합장하더니, 다음 같은 게(偈)로써 사뢰었다.

So it was heard by me:

At one  time Bhagavat dwelt at Alavi, in the temple of Aggalava. At that time the teacher of the venerable Vangisa, the Thera, by name Nigrodhakappa, had attained bliss not long before (akiraparinibbuta). Then this reflection occurred to the venerable Vangisa, while retired and meditating:

Whether my teacher be blessed (parinibbuta) or whether he be not blessed. Then the venerable Vangisa, at the evening time, coming forth from his retirement went to Bhagavat, and having gone to him he sat down apart after saluting him, and sitting down apart the venerable Vangisa said this to Bhagavat:

'Lord, while retired and meditating, this reflection occurred to me here: Whether my teacher be blessed or whether he be not blessed.'

Then the venerable Vangisa, rising from his seat, throwing his robe over one  shoulder and bending his joined hands towards Bhagavat, addressed him in stanzas:

(343)
"현세에서 모든 의혹을 끊고 위없는 지혜를 가지신 스승께 묻겠습니다.
세상에 알려지고 명망높고 마음이 평안하게 된 수행자가
악갈라바에서 죽었습니다.

'We ask the Master of excellent understanding: he who in this world had cut off doubt, died at Aggalava, a Bhikkhu, well known, famous, and of a calm mind.

(344)
스승이시여, 당신께서는 그 바라문에게 니그로드하까빠라는
이름을 주셨습니다. 확고한 진리(法)을 보신 분이시여,
그는 당신을 예배하고 해탈을 구하여 애써 정진했습니다.

'The name "Nigrodhakappa" was given to that Brahmana by thee, O Bhagavat; he wandered about worshipping thee, having liberation in view, strong, and seeing Nibbana.

(345)
석가님이여, 널리 보시는 분이여,
저희들은 당신의 제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저희 귀는 들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저희 스승이십니다. 당신은 가장 뛰어난 분이십니다.

'O Sakka, thou all-seeing, we all wish to learn (something about) this disciple; our ears are ready to hear, thou art our Master, thou art incomparable.

(346)
저희의 의혹을 풀어 주십시오. 이것을 저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지혜 많은 분이시여, 그가 아주 죽었는지 아닌지를
저희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천 개의 눈을 가진 제석천(帝釋天)이 신들에게 말하듯이.
널리 보시는 분이시여!

'Cut off our doubt, tell me of him, inform us of the blessed, O thou of great understanding; speak in the midst of us, O thou all-seeing, as the thousand-eyed Sakka (speaks in the midst) of the gods.

(347)
이 세상에는 여러 가지 속박이 있고,
그것은 미혹으로 가는 길이고
무지와 의혹으로 인해서 있는 것이지만,
완전한 분(如來)을 만나면 그런 것들은 다 사라지고 맙니다.
그 눈은 인간 중에서 으뜸가는 눈이기 때문입니다.

'Whatever ties there are in this world (constituting) the way to folly, combined with ignorance, forming the seat of doubt, they do not exist before Tathagata, for he is the best eye of men.

(348)
바람이 구름을 걷어 버리듯이,
이 분(부처님)이 번뇌의 티끌을 털어버리지 않는다면,
온 세상은 뒤덮이어 암흑이 될 것입니다.
빛을 가진 사람들도 빛을 내지 못할 것입니다.

'If a man does not for ever dispel the sin as the wind (dispels) a mass of clouds, all the world will be enveloped in darkness, not even illustrious men will shine.

(349)
어진 이들은 세상을 비추는 분입니다.
어진 이여, 저는 당신을 그런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당신이야말로, 사실 그대로 보는 분으로 알고
이렇게 찾아온 것입니다.
대중 속에서 저희들을 위해

니그로드하까빠에 대한 일을 밝혀 주십시오.

'Wise men are light-bringers, therefore, O wise man, I consider thee as such a one ; we have come to him who beholds meditation, reveal Kappa to us in the assembly.

(350)
어서 미묘한 음성으로 말씀해 주십시오.
백조가 목을 빼고 우는 것처럼,
잘 다듬어진 원만한 음성으로 말씀해 주십시오.
저희는 똑바르게 들으리이다.

'Uplift quickly, O thou beautiful one , thy beautiful voice, like the swans drawing up (their necks) sing softly with a rich and well-modulated voice; we will all listen to thee attentively.

(351)
생사를 남김 없이 버리고,
악(惡)을 떨쳐버린 분께 청하여 가르침을 들읍시다.
범부들은 알고 싶고 말하고 싶은 것을 다할 수 없지만,
모든 여래(如來)들은 잘 생각해서 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aving earnestly called upon him who has completely left birth and death behind and shaken off (sin), I will make him proclaim the Dhamma, for ordinary people cannot do what they want, but the Tathagatas act with a purpose[1].

*1. Pahinagatimaranam asesam
Niggayha dhonam vadessami dhammam,
Na kamakaro hi puthuggananam
Samkheyyakaro ka tathagatanam.

(352)
이 완전한 설명이 올바른 지자(智者)인 당신에 의하여
잘 보전되어 있습니다. 저는 최후의 합장을 드립니다.
스스로는 알면서도

말씀하지 않음으로써 저희를 방황케 하지 마십시오.
위없이 지혜로운 분이시여!

'This full explanation by thee, the perfectly wise, is accepted, this last clasping of the hands is well bent, O thou of high wisdom, knowing (Kappa's transmigration), do not delude us[1].

* 1. Sampannaveyyakaranam tava-y-idam
Samuggupannassa samuggahitam,
Ayam angali pakkhimo suppanamito,
Ma mohayi ganam anomapanna.

(353)
이것 저것 거룩한 법을 알고 계시면서
저희를 방황케 하지 마십시오.
정진에 뛰어나신 분이여!
한여름 더위에 지친 사람이 물을 찾듯이,
저는 당신의 말씀을 갈구합니다.
말씀의 비를 내려 주십시오.

' Having perfectly[2] comprehended the Dhamma of the venerable one s, do not delude (us), O thou of unsurpassed strength, knowing (everything); as one  in the hot season pained by the heat (longs for) water, so I long for thy words; send a shower of learning.

(354)
까빠가 청정한 행(梵行)에 의하여
이루려 했던 목적은 헛된 것이었습니까?
혹은 해탈한 사람처럼 열반했습니까?
아니면, 그러한 열반을 못하였습니까?
우리는 그것을 알고 싶습니다."

'The rich religious life which Kappayana led, has not that been in vain (to him), has he been (completely) extinguished; or is he still with some elements of existence (left behind)? How he was liberated, that we want to hear.'

(355)
부처님께서 대답했다.
"그는 이 세상의 명칭과 형태에 대한 애착을 끊어버렸다.
오랫동안 빠져 있던 검은 악마의 흐름을 끊어 버린 것이다."
다섯 사람 중에서 가장 뛰어난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Bhagavat: 'He cut off the desire for name and form in this world,'--so said Bhagavat,--'Kanha's (i.e. Mara's) stream, adhered to for a long time, he crossed completely birth and death,' so said Bhagavat, the best of the five (Brahmanas, pankavaggiya).

(356)
"일곱번째 선인(仙人)이여, 당신의 말씀을 듣고 저는 기뻐합니다.
제 물음은 헛되지 않았습니다.
바라문께서는 저를 속이지 않을 것입니다.

Vangisa: 'Having heard thy word, O thou the best of the Isis, I am pleased; not in vain have I asked, the Brahmana did not deceive me.

(357)
눈 뜬 사람의 제자인 니그로드하까빠는 말한 대로 실행하여,
사람을 속이는 죽음의 악마가 펼친 질긴 그물을 찢어 버렸습니다.

'As he talked so he acted, he was a (true) disciple of Buddha, he cut asunder the outspread strong net of deceitful death.

(358)
스승이시여, 까빠는 집착의 뿌리를 보았습니다.
아아, 까빠는 가장 건너기 어려운
사마(死魔)의 영역을 넘어선 것입니다.

'Kappiya (Kappayana) saw, O Bhagavat, the beginning of attachment, Kappayana verily crossed the realm of death, which is very difficult to cross.'

* 2. Parovaran ti lokuttaralokiyavasena sundarasundaram dure santikam va. Commentator.

- Vangisasutta is ended.

* 빛을 가진 사람 : 사리불등 지혜있는 사람들

* 다섯 사람 :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후 베나레스의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법을 설할 때 제자가 된 다섯 수행자

* 일곱번째 선인(仙人) : 부처님을 뜻한다


2-13.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가기

SAMMAPARIBBAGANIYASUTTA.

The right path for a Bhikkhu.

(359)
"지혜가 많고, 강을 건너 피안(彼岸)에 이르러
완전한 열반을 얻어, 마음이 안정된 성인께 여쭙니다.
출가하여 여러가지 욕망을 없앤 수행자는,
어떻게 해서 이 세상에서 바르게 완전하게 살아 갈 수 있겠습니까?"

'We will ask the Muni of great understanding, who has crossed, gone to the other shore, is blessed (parinibbuta), and of a firm mind: How does a Bhikkhu wander rightly in the world, after having gone out from his house and driven away desire?'

(360)
스승은 말씀하셨다.
"길조의 점, 천지이변의 점, 해몽, 관상보는 일을 완전히 버리고,
길흉의 판단도 버린 수행자는,
세상에서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갈 것이다.

'He whose (ideas of) omens, meteors, dreams and signs are destroyed,'--so said Bhagavat,--'such a Bhikkhu who has abandoned the sinful omens, wanders rightly in the world.

(361)
수행자가 생존을 초월하고 법을 깨달아,
인간계와 천상의 모든 향락에 대한 탐욕을 버린다면,
그는 세상에서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갈 것이다.

'Let the Bhikkhu subdue his passion for human and divine pleasures, then after conquering existence and understanding the Dhamma,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62)
수행자가 두 가지로 하는 말(兩舌)을 버리고,
분노와 인색을 버리고 긍정과 부정의 생각을 버린다면,
그는 세상에서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갈 것이다.

'Let the Bhikkhu, after casting behind him slander and anger, abandon avarice and be free from compliance and opposition, then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63)
좋아하는 것이나 좋아하지 않는 것이나 다 버리고,
아무것에도 집착하거나 매이지 않고 온갖 속박에서
벗어난다면, 그는 세상에서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갈 것이다.

'He who having left behind both what is agreeable and what is disagreeable, not seizing upon anything, is independent in every respect and liberated from bonds,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64)
그가 생존을 이루고 있는 요소 가운데에
견고한 실체를 있다고 보지 않고,
모든 집착된 것들에 대한 탐욕을 떠나며, 의지하지 않고
아무 것에도 이끌리지 않는다면,
그는 세상에서 바르게 완전하게 살아갈 것이다..

'He does not see any essence in the Upadhis, having subdued his wish and passion for attachments, he is independent and not to be led by others,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1].

*1. Na so upadhisu saram eti
Adanesu vineyya khandaragam
So anissito anannaneyyo
Samma so.

(365)
말과 생각과 행동으로 거역하지 않고,
바르게 법을 알아 열반의 경지를 구한다면,
그는 세상에서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갈 것이다.

'He who is not opposed (to any one ) in word, thought or deed, who, after having understood the Dhamma perfectly, longs for the state of Nibbana,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66)
수행자가`그는 나를 숭배한다'하면서 거만해하지 않고,
욕을 먹더라도 마음에 두지 않으며,
남에게서 음식을 얻었다고 해서 교만해지지 않으면,
그는 세상을 바르고 완전하게 세상을 살아갈 것이다.

'He who thinking "he salutes me" is not elated, the Bhikkhu who, although abused, does not reflect (upon it, and) having received food from others does not get intoxicated (with pride),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67)
수행자가 탐욕과 생존의 희망을 버리고,
다른 생물을 자르거나 묶지 않고,
의혹을 넘어서 번뇌의 화살을 뽑아 버린다면,
그는 세상에서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갈 것이다.

'The Bhikkhu who, after leaving behind covetousness and existence, is disgusted with cutting and binding (others), he who has overcome doubt, and is without pain,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68)
수행자가 자기 분수에 알맞은 것을 알고,
세상에서 아무 것도 해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법을 안다면,
그는 세상에서 바르고 완전하게 세상을 살아갈 것이다.

'And knowing what becomes him, the Bhikkhu will not harm any one  in the world, understanding the Dhamma thoroughly,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69)
그에게 있어서 어떤 잠재적인 집념도 없이
착하지 못한 뿌리들이 뿌리째 뽑히고,
바라는 것도 구하는 것도 없다면,
그는 바르고 완전하게 세상을 살아갈 것이다.

'He to whom there are no affections whatsoever, whose sins are extirpated from the root, he free from desire and not longing (for anything),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70)
번뇌의 흐름은 이미 다 없어지고,
거만한 생각을 쉬고 모든 탐욕의 길을 넘어
스스로 억제하고 완전하게 평안에 이르러(parinibbuta)
마음이 안정되면, 그는 바르고 완전하게 세상을 살아갈 것이다.

'He whose passions have been destroyed, who is free from pride, who has overcome all the path of passion, is subdued, perfectly happy (parinibbuta), and of a firm mind,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71)
신심이 있고 학식이 있는 어진 이가
궁극의 경지에 이르는 결정된 길을 보고,
무리들 사이에 있으면서도 무리에 맹종하지 않으며,
탐욕과 혐오와 분노를 삼간다면,
그는 바르고 완전하게 세상을 살아갈 것이다.

'The believer, possessed of knowledge, seeing the way (leading to Nibbana), who is no partisan amongst the partisans (of the sixty-two philosophical views), wise after subduing covetousness, anger,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72)
청정한 행으로써 번뇌를 이긴 승리자이며,
덮여 있는 것을 벗기고 모든 법에 자재(自在)하고,
피안에 이르러 흔들리지 않고,
생존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멸함을 잘 인식한다면,
그는 바르고 완전하게 세상을 살아갈 것이다.

'He who is pure and victorious, who has removed the veil (of the world), who is subdued in the Dhammas, has gone to the other shore, is without desire, and skilled in the knowledge of the cessation of the Samkharas,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73)
과거와 미래에 대해서 쓸데없는 생각을 하지 않고,
지극히 깨끗한 지혜가 있어
모든 변화하는 현상의 영역에서 벗어나 있으면,
그는 바르고 완전하게 세상을 살아갈 것이다.

'He who has overcome time (kappatita) in the past and in the future, is of an exceedingly pure understanding, liberated from all the dwelling-places (of the mind),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74)
궁극의 경지를 알고, 법을 깨달아
번뇌의 흐름이 다 없어짐을 명백하게 보고,
모든 생존을 구성하는 요소를 멸해버린 까닭에,
그는 세상을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갈 것이다."
'Knowing the step (of the four truths), understanding the Dhamma, seeing clearly the abandonment of the passions, destroying all the elements of existence (upadhi),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375)
"거룩하신 스승이시여, 참으로 그렇습니다.
그와 같이 생활하고 스스로 자제하는 수행자는
온갖 속박에서 벗어난 것입니다.
그는 바르고 완전하게 살아갈 것입니다."

'Certainly, O Bhagavat, it is so: whichever Bhikkhu lives in this way, subdued and having overcome all bonds, such a one  will wander rightly in the world.'

- Sammaparibbaganiyasutta is ended.

* 두 가지로 하는 말(兩舌) : 남의 등뒤에서 하는 말

* 생존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멸함

(sankharanirodha nanakusala) :諸行滅知善

* 쓸데없는 생각 : kappa 分別識


2-14. 담미까

DHAMMIKASUTTA.

Buddha shows Dhammika what the life of a Bhikkhu and what the life of a householder ought to be.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에 거룩한 스승께서는
사위성 기수급고독원에 계시었다.
그 때 담미까라는 재가(在家) 신도가
오백 명의 신도들과 함께 스승께로 와서 예배한 뒤
게(偈)로써 부처님께 여쭈었다.

So it was heard by me:

At one  time Bhagavat dwelt at Savatthi, in Getavana, in the park of Anathapindika. Then the follower (upasaka) Dhammika, together with five

hundred followers, went to Bhagavat, and having gone to Bhagavat and saluted him, he sat down apart; sitting down apart the follower Dhammika addressed Bhagavat in stanzas:

(376)
"지혜가 넓으신 고오타마시여, 당신께 묻습니다.
가르침을 받으려는 사람은 집에서 나가 출가하는 것과
집에서 믿는 우바새 어느 쪽 행(行)이 더 좋을까요."

'I ask thee, O Gotama of great understanding, How is a Savaka (disciple) to act to be a good one ? is it the one  who goes from his house to the wilderness, or the followers with a house?

(377)
당신께서는 천신들을 포함한 이 세계의
귀취(歸趣)와 궁극의 목적(parayana)을 알고 계십니다.
미묘한 의(義)를 보는 데는 당신을 따를 이가 없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당신을 뛰어난 깨달은 분이라고 부릅니다.

'For thou knowest the doings of this world and that of the gods, and the final end; there is nobody like thee seeing the subtle meaning (of things); they call thee the excellent Buddha.

(378)
당신께서는 널리 깨달으시고,
살아 있는 모든 것을 가엾이 여겨, 지혜와 법을 설명하십니다.
널리 보는 분이시여, 당신께서는 세상에 덮인 것을 벗겨주시고,
티 없이 온 세상을 비추십니다.

'Knowing all knowledge thou hast revealed the Dhamma, having compassion on creatures; thou hast removed the veil (of the world), thou art all-seeing, thou shinest spotless in all the world.

(379)
에라바나라고 부르는 코끼리 왕(nagaraja)은 당신이 승자임
을 듣고 당신께로 왔었습니다. 그도 당신의 말씀을
듣고는`참, 좋구나.' 하면서 기뻐 돌아갔습니다.

'The king of elephants, Eravana by name, hearing that thou wert Gina (the Conqueror), came to thy presence, and having conversed with thee he went away delighted, after listening (to thee, and saying), "Very good!"

(380)
비사문(毘沙門) 천왕(天王)인
꾸베라도 법을 듣고자 당신께 왔었습니다.
어지신 분이여, 그가 물었을 때도 당신은 말씀하셨습니다.
그도 또한 당신 말씀을 듣고 기뻐했습니다.

'Also king Vessavana Kuvera came to ask thee about the Dhamma; him, too, thou, O wise man, answeredst when asked, and he also after listening was delighted.

(381)
아지비까 교도이건 자이나 교도이건 논쟁을 즐기는
어떤 이교도일지라도, 모두 지혜로서는 당신을 따를 수 없습니다.
마치, 서 있는 사람이 달리는 사람을 따를 수 없는 것처럼.

'All these disputatious Titthiyas and Agivikas and Niganthas do not any of them overcome thee in understanding, as a man standing (does not overcome) the one  that is walking quickly.

(382)
논쟁을 즐기는 어떠한 바라문이라도,
그가 노년이건 또는 중년이나 청년인 바라문일지라도,
혹은`나야말로 논객(論客)이다' 라고 자부하는 사람들까지도,
다들 당신으로부터 유익함을 얻고자 합니다.

'All these disputatious Brahmanas, and there are even some old Brahmanas, all are bound by thy opinion, and others also that are considered disputants.

(383)
스승이시여, 당신께서 말씀하신 법은 미묘하고
또한 안락을 가져옵니다.
모두들 다 바로 그것을 듣고자 합니다.
원컨대 저희들에게도 설해 주십시오.
깨달은 분이시여.

'This subtle and pleasant Dhamma that has been well proclaimed by thee, O Bhagavat, and which we all long to hear, do thou, O thou best of Buddhas, speak to us when asked.

(384)
출가 수행자들과 재가 신도들은
깨달은 분의 말씀을 들으려고 여기 모였습니다.
티 없는 사람(부처님)이 깨닫고 가르치는 법을 듣기 위해서
마치, 천신들이 인드라 신의 말을 듣는 것처럼."

'Let all these Bhikkhus and also Upasakas that have sat down to listen, hear the Dhamma learnt (anubuddha) by the stainless (Buddha), as the gods (hear) the well-spoken (words) of Vasava.'

(385)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행자들이여, 내 말을 들으라.
번뇌를 없애는 법을 그대들에게 말하겠노라.
그대들은 모두 그것을 잘 지키라.
뜻(義)을 보는 지혜로운 이는
출가한 사람에게서 알맞은 그 행동을 배우고 행하라.

Bhagavat: 'Listen to me, O Bhikkhus, I will teach you the Dhamma that destroys sin, do ye keep it, all of you; let him who looks for what is salutary, the thoughtful, cultivate the mode of life suitable for Pabbagitas.

(386)
수행자는 제때가 아닌 때에는 돌아다니지 말아라.
정해진 시각에 탁발을 하러 마을에 가라.
때가 아닌데 다니는 것은 집착에 얽매인 것이다.
그러므로 깨달은 사람들은 제 때가 아닌 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Let not the Bhikkhu walk about at a wrong time, let him go to the village for alms at the right time; for ties ensnare the one  that goes at a wrong time, therefore Buddhas do not go at a wrong time.

(387)
모든 빛. 소리. 냄새. 맛. 촉감은 사람을 도취시킨다.
이런 것에 대한 욕망을 삼가고,
정해진 시각에 아침밥을 얻으러 마을에 들어가라.

'Form, sound, taste, smell, and touch which intoxicate creatures, having subdued the desire for (all) these things (dhammas), let him in due time go in for his breakfast.

(388)
그리고 수행자는 정해진 때에 얻은 밥을 가지고
홀로 그늘에 앉아라.
자신을 자제하고 안으로 돌이켜,
마음이 밖으로 쏠리게 해서는 안된다.

'And let the Bhikkhu, after having obtained his food at the right time and returned, sit down alone and privately; reflecting within himself let him not turn his mind to outward things, (but be) self-collected.

(389)
만일 가르침을 듣고자 하는 사람이나
다른 수행자들과 함께 이야기 할 일이 있거든,
그 사람에게 훌륭한 법(法)을 보여 주어라.
이간하는 말이나 남을 비방하는 말을 해서는 안된다.

'If he speak with a Savaka or with anybody else, or with a Bhikkhu, let him talk about the excellent Dhamma, (but let him) not (utter) slander, nor blaming words against others.

(390)
사실 어떤 사람들은 비방하는 말에 반발한다.
그처럼 옹졸한(小智) 사람들을 우리는 칭찬하지 않는다.
논쟁의 집착이 이곳 저곳에서 일어나 그들을 속박하므로
그들은 마음을 멀리 놓쳐버린다.

'For some utter language contradicting others[1]; those narrow-minded one s we do not praise. Ties from here and there ensnare them, and they send their mind far away in that (dispute).

* 1. Vadam hi eke patiseniyanti = virugghanti yugghitukama hutva senaya patimukham gakkhanta viya honti. Commentator.

(391)
지혜가 뛰어난 사람(부처님)의 제자는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그것을 잘 생각하면서,
음식과 거처와 침구와 가사(僧伽梨衣)의 때를
세탁할 물을 조심해서 사용하라.

'Let a Savaka of him with the excellent understanding (Buddha), after hearing the Dhamma taught by Sugata, discriminately seek for food, a monastery, a bed and a chair, and water for taking away the dirt of his clothes.

(392)
그러므로 수행자는 음식을 씻고
침구와 가사를 세탁할 물 같은 것에 집착하여 더럽혀지는 일이 없다.
마치 연꽃잎에 구르는 물방울처럼.

'But without clinging to these things, to food, to bed and chair, to water for taking away the dirt of his clothes, let a Bhikkhu be like a waterdrop on a lotus.


(393)
다음은 재가자가 해야 할 일을 말하리라.
이와 같이 실행하는 사람은 좋은 '가르침을 듣는 사람'이다.
순수한 출가 수행자에 대한 규정은,
소유의 번거로움이 있는 사람이 지키기는 어려울 것이다.

'A householder's work I will also tell you, how a Savaka is to act to be a good one ; for that complete Bhikkhu-dhamma cannot be carried out by one  who is taken up by (worldly) occupations.

(394)
산 것을 몸소 죽여서는 안된다.
또 남을 시켜 죽게 해서도 안된다.
그리고 죽이는 것을 보고 묵인해도 안된다.
이 세상의 난폭한 것을 두려워하는 떨고 있는 것들,
모든 생물에 대해서 폭력을 거두어야 한다.

'Let him not kill, nor cause to be killed any living being, nor let him approve of others killing, after having refrained from hurting all creatures, both those that are strong and those that tremble in the world.

(395)
그리고 가르침을 받는 사람은
주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 또 어디에 있든,
남의 것인 줄 알면서 그것을 갖지 말라.
남을 시켜 가지거나
남이 가지는 것을 묵인하지도 말라.
주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지 가져서는 안된다.

'Then let the Savaka abstain from (taking) anything in any place that has not been given (to him), knowing (it to belong to another), let him not cause any one  to take, nor approve of those that take, let him avoid all (sort of) theft.

(396)
슬기로운 사람은 음행(淫行)을 회피하라.
타오르는 불구덩이를 피하듯,
만일 불음(不淫)을 닦을 수가 없더라도,
남의 아내를 범해서는 안된다.

' Let the wise man avoid an unchaste life as a burning heap of coals; not being able to live a life of chastity, let him not transgress with another man's wife.

(397)
집회의 장소에 있든, 단체에 있든 간에,
누구도 남에게 거짓말을 해서는 안된다.
남에게 거짓말을 시켜도 안된다.
또 남이 거짓말하는 것을 묵인해도 안된다.
모든 허망한 말을 하지 말라.

'Let no one  speak falsely to another in the hall of justice or in the hall of the assembly, let him not cause (any one ) to speak (falsely), nor approve of those that speak (falsely), let him avoid all (sort of) untruth.

(398)
또 술을 마셔서는 안된다.
이 불음주(不飮酒)의 가르침을 기뻐하는 재가자는
남에게 술을 마시게 해도 안된다.
남이 술 마시는 것을 묵인해서도 안된다.
이것은 마침내 사람을 취하게 하고
미치게 하는 것임을 알라.

'Let the householder who approves of this Dhamma, not give himself to intoxicating drinks; let him not cause others to drink, nor approve of those that drink, knowing it to end in madness.

(399)
그러나 어리석은 사람들은
취함으로써 나쁜 짓을 하고,
또한 남들로 하여금 게으르게 하고 나쁜 짓을 하게 한다.
이 불행의 원인을 회피하라.
그것은 사람을 취하게 하고 미치게 하며
어둡게 하는 것인데,
어리석은 사람들은 이를 즐기는 것이다.

'For through intoxication the stupid commit sins and make other people intoxicated; let him avoid this seat of sin, this madness, this folly, delightful to the stupid.

(400)
첫째, 살아 있는 것은 해치지 말라.
둘째, 주지 않는 것을 가지지 말라.
세째, 거짓말을 하지 말라.
네째, 술을 마시지 말라.
다섯째, 부정한 짓인 음행(淫行)을 떠나라.
여섯째, 밤에는 음식을 먹지 말라.

'Let him not kill any living being, let him not take what has not been given (to him), let him not speak falsely, and let him not drink intoxicating drinks, let him refrain from unchaste sexual intercourse, and let him not at night eat untimely food.

(401)
일곱째, 화환을 걸치지 말고 향수를 쓰지 말라.
여덟째, 땅위에 펼친 자리 위에서만 자라.
이것이야말로 여덟 부분으로 된 재가의 계(齊戒)이다.
괴로움을 없애 버린 깨달은 부처님이 가르친 바이니라.

'Let him not wear wreaths nor use perfumes, let him lie on a couch spread on the earth:--this they call the eightfold abstinence (uposatha), proclaimed by Buddha, who has overcome pain.

(402)
그리고 각각 보름 동안 제8일, 14일, 제15일에
계율을 읽고 참회하는 우뽀사타(布薩)를 행하라.
또 특별한 달에는 여덟 부분으로 된
원만한 재계(齊戒)를 청정한 마음으로 행하라.

'Then having with a believing mind kept abstinence (uposatha) on the fourteenth, fifteenth, and the eighth days of the half-month, and (having kept) the complete Patiharakapakkha[1] consisting of eight parts,

(403)
재계(齊戒)를 행한 식자(識者)는
청정하게 가라앉은 마음으로 기뻐하면서,
이튿날 아침 일찍 수행자에게 음식을 베풀어 주라.

'And then in the morning, after having kept abstinence, let a wise man with a believing mind, gladdening the assembly of Bhikkhus with food and drink, make distributions according to his ability.

(404)
법에 따라서 얻은 재물을 가지고 부모를 섬기라.
올바르고 정당하게 장사를 하라.
이와 같이 열심히 살고 있는 재가자는 죽은 후에
'저절로 빛이 난다'고 이름하는 천신들 곁에 태어나리라.

'Let him dutifully maintain his parents, and practise an honourable trade; the householder who observes this strenuously goes to the gods by name, Sayampabhas.'

- Dhammikasutta is ended.

- Kulavagga is ended.


* 코끼리 왕(nagaraja) : 龍王이라고도 한다

* '저절로 빛이 난다'고 이름하는 천신세계 : 六欲天

* 제때가 아닌 때 : 正午가 지난 다음

* 僧伽梨衣(samghati;) : 수행자가 입는 옷의 한가지

* 가르침을 듣는 사람 : savaka

* 힘이 센 것, 두려워서 떨고있는 것들 : 어떠한 생명일지라도

겁에 떨고 있는 것, 강하고 굳센 것이거나, 긴 것이건 큰 것이건,

중간치건 작은 것이건, 또는 미세한 것이건 거대한 것이건.

* 1. Compare T. W. Rhys Davids, Buddhism, p.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