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제 : 四聖諦 4 사성제 : 四聖諦 4 ***사랑하는 이와 헤어지고 미운 이와 만나는 고통-사성제4*** 증일아함경 권17 사제품에 따르면 "세상에 태어나고(生) 늙고(老) 병들고(病) 죽는 것(死)은 괴로움이다. 미운 이와 만나고(怨憎會) 사랑하는 이와 헤어지고(愛別離) 구하는 바를 얻지 못하는 것(求不得)은 괴로.. 한줄기의 향 2010.12.25
사성제 : 四聖諦 3 사성제 : 四聖諦 3 ***고(苦)의 유형과 네 가지 고[四苦]-사성제3*** 고(苦)에 대한 설명은 접근 방식이 다르긴 하지만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교리인 삼법인과 사성제의 핵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삼법인에서는 '무상(無常)하기 때문에 고'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존재의 실상이 고라는 것.. 한줄기의 향 2010.12.25
사성제 : 四聖諦 2 사성제 : 四聖諦 2 ***고해를 건너가는 네 가지 진리[四聖諦] 2 *** 1. 부처님의 깨달음으로 이어주는 가르침 흔히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고 합니다. 그래서 출가자는 물론이고 불자들도 깨달음을 얻기 위해 정진합니다. 그렇다면 부처님의 깨달음과 불교의 교리, 그리고 불자들의 삶은 어.. 한줄기의 향 2010.12.25
사성제 : 사성제(四聖諦) 1 사성제 : 사성제(四聖諦) 1 ***사성제(四聖諦)*** 사성제는 불교의 모든 교리 가운데서 가장 처음으로 설한 것이다.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후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법을 설하실 적에 이 사성제를 다섯 수행자 (아약교진여, 아습비, 마하마다담, 바뎨, 바부)에게 설하셨다. 붓다가 녹야원에서 .. 한줄기의 향 2010.12.25
사성제(四聖諦)를 생각하며 사성제(四聖諦)를 생각하며 불교에서는 인생은 고해(苦海)라고 한다 세상의 바다 같은 고(苦)를 모아서 멸(滅)하면 도(道)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 이른바 불교의 근간인 사성제(苦集滅道)다 그러면 고를 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것이 바로 팔정도(八正道) 정견 정사 정어 정업 정명 정정.. 한줄기의 향 2010.12.25
사성제 수행의 길 - 맹구우목(盲龜遇木) 사성제 수행의 길 - 맹구우목(盲龜遇木) 어느 바닷속에 눈 먼 거북이가 살았습니다. 삼천년에 한 번씩 물 위로 떠오른다는 거북이로, 언젠가 이 거북이가 물 위로 나왔을 때, 바로 그 위를 정처없이 떠다니던 나무 토막을 만나게 됩니다. 망망대해에서 눈 먼 거북이가 그런 나무토막을 만.. 한줄기의 향 2010.12.25
달마에서 혜능대사까지 달마에서 혜능대사까지 ※ 아래의 동영상들은 재단법인 안국선원에서 제공합니다.. [1] 육조 혜능 대사 (1) 서쪽에서 온 사람, 달마 [2] 육조 혜능 대사 (2) 혜가의 탄생 [3] 육조 혜능 대사 (3) 승찬의 깨달음 [4] 육조 혜능 대사 (4) 어린 사미 도신 [5] 육조 혜능 대사 (5) 마음의 결박을 푸는 법 [.. 한줄기의 향 2010.04.28
신심명(信心銘) 강의 동영상 신심명(信心銘) 강의 동영상 (위의 HD 버튼을 On 하시고 화면을 더블 클릭하시면 전체화면 HD로 시청가능합니다)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 승찬僧璨 선사의 '신심명' 강의를 함께합니다. 금주 강의는 노자강의를 마치고, 금주 '중용' 강의를 진행하기에 앞서 학당에서 강조하는 '존심'(.. 한줄기의 향 2010.04.27
삼조 승찬대사 신심명 삼조 승찬대사 신심명 신심명(信心銘), 증도가(證道歌) 강설 퇴옹 성철 (장경각/2002) 1. 독서후기 제6대, 제7대 조계종 종정이셨던 성철스님이 입적(1993.11.04)하신 후, 스님께서 저술한 책을 고르던 중 눈에 띈 게 바로 이 책이다. 이 책은 큰 스님께서 해인총림 초대 방장에 취임하신 1967년 동.. 한줄기의 향 2010.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