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단경4. 神秀 - 신수스님 육조단경4. 神秀 - 신수스님 4. 神秀 - 신수스님 상좌인 신수는 생각하였다. "모든 사람들이 마음의 게송(心偈)을 바치지 않는 것은 내가 교수사이기 때문이다. 내가 만약 마음의 게송을 바치지 않으면 오조 스님께서 내 마음속의 견해가 얕고 깊음을 어찌 아시겠는가. 내가 마음의 게송을 .. 선사의 향기 2010.09.09
육조단경3. 命偈 - 게송을 지으라 이르심 육조단경3. 命偈 - 게송을 지으라 이르심 3. 命偈 - 게송을 지으라 이르심 오조 홍인대사께서 하루는 문인들을 다 불러오게 하셨다. 문인들이 다 모이자 말씀하셨다. "내 너희들에게 말하나니, 세상 사람의 나고 죽는 일이 크거늘 너희들 문인들은 종일토록 공양을 하며 다만 복밭만을 구할.. 선사의 향기 2010.09.09
육조단경2. 尋師 - 스승을 찾아감 육조단경2. 尋師 - 스승을 찾아감 2. 尋師 - 스승을 찾아감 혜능대사는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마음을 깨끗이 하여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생각하라!" 대사께서는 말씀하시지 않고 스스로 마음과 정신을 가다듬고 한참 묵묵하신 다음 이윽고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조용히 들어라. 혜능.. 선사의 향기 2010.09.09
육조단경1. 序言 - 머리말 육조단경1. 序言 - 머리말 1. 序言 - 머리말 혜능(慧能)대사가 대범사(大梵寺) 강당의 높은 법좌(法座)에 올라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고 무상계(無相戒)를 주시니, 그 때 법좌 아래에는 스님·비구니·도교인(道敎人)·속인 등, 일 만여 명이 있었다. 소주(韶州) 자사 위거와 여러 관료 삼.. 선사의 향기 2010.09.09
달마어록21. 안심론(安心論) 달마어록21. 안심론(安心論) 달마대사 달마어록21. 안심론(安心論) "그러나 욕장경(浴場經)에는 '승려들을 목욕시키는 공덕은 무한한 축복을 받으리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 말은 외부적인 덕행이 깨닫는 데 보탬이 된다는 예가 아니겠습니까? 이것은 마음을 지켜보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 선사의 향기 2010.09.09
달마어록20. 수행론(修行論) 달마어록20. 수행론(修行論) 달마대사 달마어록20. 수행론(修行論) 경전을 통틀어서 부처는 중생들에게 말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좋은 일을 함으로써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말이다. 그 좋은 일이란 절을 짓고, 불상을 조성하며, 향을 사르고, 꽃을 뿌리며, 꺼지지 않는 등잔에 불을 밝히.. 선사의 향기 2010.09.09
달마어록19. 육바라밀론(六波羅蜜論) 달마어록19. 육바라밀론(六波羅蜜論) 달마대사 달마어록19. 육바라밀론(六波羅蜜論) 그대가 닦은 수행은 그대의 마음과 따로 떨어져 있지 않음을 그대는 깨달아야 한다. 만일 그대의 마음이 청정하다면 모든 불국토 또한 청정하다. 경에 이르기를 "그들의 마음이 불순하면 존재 역시 불순.. 선사의 향기 2010.09.09
달마어록18. 돈오론(頓悟論) 달마어록18. 돈오론(頓悟論) 달마대사 달마어록18. 돈오론(頓悟論) "그러나 부처는 '삼 아승지겁 동안의 셀 수 없는 어려움을 겪고 나서야 그대는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당신께서는 어떤 연유로 단지 마음을 지켜보는 것만으로 삼독심을 극복하고 해탈할 .. 선사의 향기 2010.09.09
달마어록17. 무명론(無明論) 달마어록17. 무명론(無明論) 달마대사 달마어록17. 무명론(無明論) "당신께서는 우리의 불성과 모든 덕성이 각성이라는 근원에서 나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렇다면 무명은 어떤 근원에서 나오는 것입니까?" 수많은 집착과 정욕과 악을 지닌 무지한 마음, 즉 무명은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 선사의 향기 2010.09.09
달마어록16. 혁파론(革破論) 달마어록16. 혁파론(革破論) 달마대사 달마어록16. 혁파론(革破論) "만일 누군가가 깨달음에 이르고자 결심했다면 그가 수행할 수 있는 가장 본질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가장 본질적인 방법은 다른 모든 방법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것은 곧 마음을 지켜보는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방.. 선사의 향기 2010.09.09